정부, 전력 저장했다 쓰는 ESS 보급 확대…초기 투자비용 稅공제 등 지원
[아시아경제 박민규 기자] 연일 이어지는 폭염으로 전력난이 극에 달한 가운데 정부가 대규모 민간 사업장과 공공기관에 에너지저장장치(ESS) 설치를 권장하고 나서면서 삼성SDI와 LG화학 등 ESS를 취급하는 관련 기업들의 수혜가 예상된다. 정부는 ESS 투자비용에 대한 세액 공제 등 우대정책(인센티브)을 펴는 한편 향후 ESS 설치 의무화 방안도 검토 중에 있다. 21일 삼성SDI에 따르면 지난 3월 국내 최초로 1㎿급 ESS를 설치ㆍ가동해 연간 1억2000만원의 전기요금 절감 효과를 보고 있다. 삼성SDI 기흥사업장은 심야시간에 전력을 ESS에 저장했다가 대낮 한창(피크) 때 사용하고 있다. 심야와 피크시간대 전기요금 차이는 약 3.5배 수준이다. 총 16억원에 달하는 투자비 회수에는 12년 가량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초기 투자비용과 투자비 회수에 긴 시간이 걸린다는 점이 기업들의 ESS 투자를 망설이게 하는 요인이다. 이 같은 기업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가 직접 나선 것이다. 정부는 향후 ESS를 통해 절약한 전력을 전력거래시장에 팔 수 있도록 제도를 개편할 방침이다. 전기료 절감뿐만 아니라 쓰고 남은 전기를 전력거래소에 판매해 부가수익도 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지난해 100억원 수준에 불과했던 국내 ESS 시장은 오는 2017년 9000억원 규모로 커질 전망이다. 정부는 ESS 설치로 45만㎾의 전력 감축을 기대하고 있다. ESS는 생산된 전력을 저장했다가 피크시간에 공급ㆍ사용해 전력을 관리ㆍ감축하는 장치다. 삼성SDI와 LG화학 등 국내 2차전지업체들은 ESS 부문에서 세계적 경쟁력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초기 투자비용 부담과 낮은 전기요금 등으로 ESS 설치가 미미한 실정이다. 정부는 우선 계약전력 30만㎾ 이상 대규모 사업장 30여곳을 대상으로 계약전력의 5% 이상 ESS 설치를 권장할 방침이다. 포스코 포항제철소가 계약전력의 5%인 80㎿ ESS를 설치할 경우 950억원 가량의 투자비용이 들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이 투자금액의 3~5%에 세액공제 혜택을 주기로 했다. 정부는 또 계약전력 1000㎾ 이상 공공기관 1800여개에 100㎾ 이상 ESS 설치를 권고한 상태다. 주기적으로 상황을 점검해 ESS 설치가 부진할 경우 단계적 의무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ESS와 에너지관리시스템(EMS)ㆍ지능형 전력망(스마트그리드) 등을 통해 2017년까지 3조5000억원 이상의 관련 시장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수요 관리 중심의 에너지정책을 통해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에너지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박민규 기자 yushin@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박민규 기자 yushi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