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민규 기자] 정부가 국내 소형 가전 제조 중소기업들의 글로벌화 지원사격에 나섰다. 하지만 해외 시장 진출을 꾀하기 전에 국내 시장에서 대기업들과 경쟁에서 살아남기가 쉽지 않은 현실을 감안하면 중소기업 소형가전 브랜드의 글로벌화는 메아리에 그치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산업통상자원부는 17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스마트 소형 가전 명품화 전략 정책 세미나'를 열고 국내 소형 가전 분야 중소기업 지원 방안을 내놨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허남용 산업부 시스템산업정책관은 "기술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건 마케팅과 아이디어"라며 "정부가 소형 가전 중소기업들이 커 나갈 수 있도록 연구개발(R&D)나 사업화 지원 등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를 통해 국내 소형 가전 분야에서 글로벌 브랜드가 나올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소형가전은 개도국의 성장과 독신가구 증대 등에 힘입어 향후 지속 성장이 가능한 분야로 꼽히고 있다. 여러 품목의 소량 생산과 시장 흐름에 민감해 중소기업들이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영역이다.그러나 중소기업들의 경우 기획력과 마케팅·정보력·판매망 등이 열악해 국내 대기업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가 힘든 데다 해외 진출은 꿈도 꾸기 어려운 실정이다.이런 현실을 감안해 산업부는 청소·주방·미용·의류관리·공조(공기조화)·건강관리·정보 등 7개 품목에서 유망 가전을 발굴하고 지원하기로 했다.구체적으로 내년에 중소가전기업협의체를 발족해 ▲협업형 융합기술 개발 지원 ▲소형 가전 아이디어사업화 지원 ▲중소 가전 유통망 확대 ▲가전산업 지원 인프라 구축 등에 나선다. 이에 따라 저가 중국산과 글로벌 브랜드 제품 간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아이디어 제품 위주로 글로벌 기업과 기술 공유 및 홈쇼핑 협업 등을 지원할 방침이다.식품·의류 등 생활 기반 서비스업체와 가전업체를 연계한 유통망 확충도 계획 중이다. 예를 들어 유기농식품 매장에 웰빙 주서기를 판매해 식품업체와 소형 가전업체 간 이익을 나누는 식이다.문제는 소형 가전업체들이 그나마 닦아 놓은 국내 시장에 대형 가전업체들이 뛰어들고 있다는 점이다. 대형 가전의 경우 수익성이 한계에 달해 틈새시장인 소형 가전까지 노리고 있는 것이다. 실제 중소기업인 부강샘스가 처음 출시했던 침구청소기 시장에 2011년 LG전자가 발을 담근 뒤 올 4월에는 삼성전자도 발을 얹었다.그렇다고 대기업의 소형 가전 진출을 막을 수도 없는 노릇이다.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특화된 기술을 끊임없이 내놓지 못하는 이상 경쟁력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다. 대기업에 비해 인력이나 자금력이 모두 달리는 중소기업들이 버텨내기가 어려운 것이다.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중소기업들을 지원해준다고는 하지만 대기업들의 소형 가전 시장 진출을 막을 수는 없다"며 "대기업들은 정부 지원 없이도 우수한 인력 및 자금력 등 자체 경쟁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중소기업 소형 가전 브랜드의 글로벌화가 말처럼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서기웅 산업부 전기전자과장은 "정부 역할은 관련 시장이 형성되게 지원하는 것"이라며 "정부가 예산을 어느 정도까지 쓰느냐가 관건이지만 모든 부분을 정부가 해줄 수는 없다"고 말했다.박민규 기자 yushin@<ⓒ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박민규 기자 yushin@ⓒ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