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四方]마음의 휴식공간 국립세종도서관에 부는 통풍(痛風)

▲내년 상반기에 문을 여는 세종국립도서관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세종청사에서 5분 정도 걷다보면 한가로운 공원을 만난다. 인공적으로 만든 호수공원이다. 호수공원에 들어서기 전에 웅장한 한 건물을 만난다. 23일 준공하는 국립세종도서관이다. 내년 상반기에 문을 연다. 지하2층, 지상4층 규모의 세종국립도서관은 총 1000억원의 사업비가 들어갔다. 세종청사 시대를 맞아 새로운 도서문화 공간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인다. 국립세종도서관은 ▲행복도시 이전 중앙행정기관, 공공기관의 정책자료 제공 ▲행복도시 지역주민을 위한 공공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자료의 분산 보존 서고 등의 역할을 맡는다. 무엇보다 지금 조금은 황량한 세종시에 마음의 휴식을 찾을 수 있는 상징적 건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런 국립세종도서관에 '아픈 바람'이 불고 있다. 안전행정부가 국립세종도서관에 대해 책임운영기관으로 지정했기 때문이다. 책임운영기관으로 지정되면 관장은 공모를 통해 뽑는다. 이를 두고 도서관계가 반대하고 나섰다. 책임운영기관으로 지정되면 기관 평가를 받는다. 평가 항목은 다양하겠지만 기본적으로 여러 가지 사업과 수익을 통해 평가받을 수밖에 없다. 공모를 통해 선임되는 관장은 세종국립도서관에 대한 수익 등 여러 가지 항목을 통해 평가를 받게 되고 연임과 이후 인사에 반영된다. 도서관계는 "공공도서관은 수익을 창출하는 기관이 아니다"라며 "책임운영기관으로 지정되면 관장을 평가해야 하고 이는 공공도서관의 기형적 모습으로 나아가는 위험성을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달리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은 문화부 소속 행정기관이다. 관장에서부터 직원까지 모두 공무원이다. 국립도서관의 역할은 국민들에게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같은 국립도서관인데 세종도서관에 책임운용기관으로 지정된 것에 많은 관계자들이 의문을 표시하고 있다. 도서관이 책임운영기관으로 지정되는 과정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지난 2011년 6월 당시 행안부는 '책임운영기관 설치에 관한 법률' 시행령을 개정하면서 해당사항이 없던 도서관을 포함시켰다. 이 과정에서 도서관계의 의견 수렴은 없었고 제대로 된 공청회 한 번 거치지 않았다는 게 도서관계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세종국립도서관.

김영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 부회장은 "책임운영기관으로 지정되면 관장은 자신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 평가에 급급하게 될 것이고 실적내기와 수익 사업에 관심이 쏠릴 것"이라며 "나아가 수익을 늘리기 위해 직원을 줄이고, 이용자에게 부가서비스 제공에 따른 비용을 청구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마음의 휴식을 찾고 편안하게 책을 읽는 공공서비스재인 도서관이 관장의 자리를 보전하기 위해 목적으로 왜곡될 수 있다는 진단이다. 김 부회장은 "같은 국립도서관으로 중앙도서관과 세종도서관의 협조도 중요한데 공무원과 민간인 신분으로 협력 체계에도 문제가 불거질 것"이라고 진단했다.도서관계는 이와 관련 공동대책위를 구성하고 지난 17일부터 국립세종도서관의 책임운영기관 지정계획의 철회를 주장하는 릴레이 1인 시위를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세 차례 진행하고 있다. 1만명 서명을 목표로 진행 중인 다음 아고라의 인터넷 국민청원에는 2000명이 넘는 네티즌들이 서명을 했다. 세종청사에 점심시간이 찾아오면 일찍 밥을 먹은 공무원들이 호수공원을 한가롭게 걷는 모습은 일상이 되고 있다. 호수공원에 들어서기 바로 전, 국립세종도서관을 만나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도서관계가 주장하는 내용과 안전행정부가 올바른 해답을 찾아 '마음의 휴식처'로 호수공원과 더불어 공공 서비스에 나서는 국립세종도서관을 기대해 본다. 세종=정종오 기자 ikokid@<ⓒ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세종취재본부 정종오 기자 ikokid@ⓒ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