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민우 기자] 지방자치단체가 출자해 운영 중인 7개 지하철공사가 지속된 적자경영으로 인한 자본잠식 상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도권 1~4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메트로는 완전 자본잠식상태에 근접한 상태다. 지속된 영업손실로 이자비용조차 충당하지 못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국회 예산정책처가 각 도시철도공사의 감사보고서를 분석해 25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 부산교통공사 등 7개 지하철공사는 2011년 말을 기준으로 자본금의 44%가 잠식된 상태였다. 자본금 32조2000억원 대비 자기자본이 18조1000억원만 남은 상태다.자본잠식이란 적자폭이 커서 이익잉여금이 바닥나고 자본금까지 잠식되기 시작한 상태를 의미한다. 상장기업일 경우 자본잠식률이 50% 이상일 경우 관리종목에 지정되며, 2년 연속 50% 이상의 자본잠식 상황이 발생하면 상장이 폐지된다.특시 서울메트로의 자본잠식 상태가 심각했다. 서울메트로의 자본잠식률은 82.8%에 달해 완전 자본잠식상태로 이어질 위험에 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거래소나 코스닥 시장에 상장됐을 경우 일찌감치 상장폐지가 이뤄졌다는 의미다.상대적으로 늦게 설립된 다른 지하철공사의 경우 열악한 수익구조로 자본잠식률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수도권 5~8호선을 운영하고 있는 서울도시철도공사의 자본잠식률은 2007년 41.3%에서 5년 만에 46.5%로 확대됐다. 같은 기간 대구도시철도공사는 20.5%에서 32.0%로, 부산교통공사는 7.1%에서 16.2%로 자본잠식상태가 심각해졌다.실제로 서울도시철도공사는 2007년부터 5년간 1조1624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7개 지하철공사는 각 지자체로부터 매년 1조6000억원 내외의 지원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5년간 영업손실을 더하면 4조5188억원에 달했다. 지자체의 지원이 없을 경우 향후 10년 내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이른다는 이야기다.인천과 대구, 광주, 대전의 지하철은 특히 자본잠식 속도가 빠를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지역의 지하철공사는 매출원가율이 212~585%에 이른다. 특히 광주시도시철도공사의 2011년 매출원가율은 585%에 달했다. 1000원을 낸 승객 한 명을 태우는 데 5850원이 든다는 의미다. 승객 수를 확보하지 못한 것이 가장 크게 작용했다. 텅 빈 지하철을 운행하다보니 원가율이 높아질 수밖에 없었다.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 부산교통공사의 경우에는 65세 노인이나 장애인 등에게 운임을 감면해줌으로써 줄어든 수익도 전체 매출의 12.4~23.2%를 차지했다. 적자 경영의 일부 요인이 됐다는 의미다.국회 예산정책처는 "65세 노인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지하철공사의 재정부담은 갈수록 커질 것"이라며 "운임감면제도에 대한 비용 부담 주체와 부담 수준 등에 대해 다각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이민우 기자 mwlee@<ⓒ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이민우 기자 mwle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