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비정규직 5%의 비밀

퇴임한 숙련·전문인력 계약직 재고용…변형 임금피크제 시행[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포스코 인도네시아 일관제철소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김영재씨는 '계약직' 직원이다. 단순업무를 하고 있어서가 아니다. 그가 맡은 일은 올해 말 완공을 목표로 건립중인 제철소의 가스·급배수 등 각종 동력설비의 설계를 검토하고 공사진행을 관리하는 업무. 건설현장을 직접 지도하고 현지 채용인을 교육하는 일도 맡고 있다.중책을 맡는 김씨가 계약직인 건 정년을 넘긴 이후 다시 고용돼 일하고 있기 때문이다. 포스코의 정년은 당초 56세였다가 지난해 58세로 늘었다. 퇴임 이후엔 재고용 제도를 통해 계약직으로 입사, 2년간 더 일할 수 있다. 일종의 변형된 임금피크제인 셈이다. 재고용된 직원은 대부분 기존에 하던 일을 맡으며 연봉은 소폭 줄어든다.올해 예순인 김씨는 "회사가 인도네시아 제철소 건설을 계획하면서 현지업무를 도와달라는 요청이 있었다"며 "그간 쌓은 노하우를 후배사원에 전하고 싶었던데다 포스코의 첫 해외프로젝트 건설에 참여하고 싶었다"고 말했다.포스코가 지난 2010년 재고용 제도를 본격적으로 도입할 당시만 해도 회사의 비정규직은 전체의 1%도 채 안 되는 수준이었다. 2년이 지난 후 비정규직 직원은 전체의 5%를 넘어섰다.회사가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지난해 사업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전체 임직원은 1만7623명이며 이 가운데 계약직이 948명(5.38%)으로 집계됐다. 2010년 141명(기타 포함)에 비하면 7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회사 설립 후 비정규직 비중이 5%를 넘은 건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해 정규직 직원이 전년에 비해 150명 정도 줄었음에도 비정규직이 그 이상으로 늘어 전체 직원은 소폭 증가했다.포스코가 이러한 제도를 도입한 까닭은 고급인력이 필요한 회사와 오래 일하고 싶어하는 직원간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다. 직원들에게 일자리를 보장해주고 싶지만 회사는 무분별한 정년 연장에 부담을 가질 수밖에 없는 만큼 절충안을 찾은 셈이다.회사 관계자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사업을 확장하면서 숙련인력, 전문인력이 많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고령일자리 창출이라는 사회적 니즈는 물론 직원·회사간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졌기에 제도를 도입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최대열 기자 dychoi@<ⓒ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최대열 기자 dychoi@<ⓒ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최대열 기자 dychoi@ⓒ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