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총리·미래창조과학부 등 장관 누구?…'인선 기준'은

[아시아경제 김혜원 기자]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조직 개편 골격이 완성됨에 따라 새 정부 초기 장관 인선을 둘러싼 하마평이 쏟아지고 있다.5년 만에 부활한 경제부총리(기획재정부 장관 겸)와 '슈퍼 부처'로 탄생한 미래창조과학부의 수장을 누가 맡을지가 최대 관심사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국정기획조정분과의 강석훈 간사는 16일 경제부총리 신설과 관련 "패러다임 전환을 주도할 경제 책임 주체가 필요해 만든 자리"라고 의미를 부여했다.예산ㆍ인사ㆍ조직에 대한 권한을 각 부 장관에게 실질적으로 위임한다는 '책임장관제'를 공약으로 내 건 박 당선인은 어느 때보다 신중히 장관 인선 작업에 전념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박 당선인이 평소 최우선시하는 '전문성'과 '능력'을 토대로 한 하마평은 끊이지 않지만 인수위를 조직하면서 보여준 '깜짝 인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기획재정부 장관을 겸할 경제부총리에는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장과 김종인 전 국민행복추진위원장, 이한구 새누리당 원내대표, 강봉균 전 재경부 장관 등이 꾸준히 거론되고 있다. 김 원장과 이 대표는 박 당선인의 경제 정책 밑그림을 그리는 데 있어 핵심 브레인으로 꼽히는 인물이다. 대선 기간 경제민주화 화두를 이끌었던 김 전 위원장과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사태 때 경제수석과 재정부 장관을 지낸 경제통(通) 강 전 장관도 하마평에 올라 있다.박근혜 시대에 경제부총리와 함께 사실상 '투톱' 실세 부처로 군림할 미래창조과학부의 초대 장관도 초미의 관심을 끈다. 관련 분야 전문가는 물론 박 당선인이 부처 업무를 편하게 챙겨 볼 수 있는 '상징성'을 부여할 만한 인사가 낙점될 것으로 보인다. 과학 분야에 정보통신기술(ICT) 기능까지 더 한 생소한 부처를 거대하게 신설한 만큼 임기 내 잡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적임자를 찾는 것이 관건이다.현재 거론되는 인물은 10여명에 이른다. 그만큼 예상이 어렵다는 뜻이다. 과학계를 중심으로 서상기 새누리당 교육과학기술위원회 간사가 가장 유력한 후보다. 현 김도연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위원장과 문길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도 후보군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문 원장은 지난해 연구원 내에 '박정희과학기술기념관' 부지를 무상으로 제공하겠다는 뜻을 내비친 적도 있다. 미래창조과학부의 태생적 성격이 융ㆍ복합인 만큼, 본인 의사와 무관하게 황창규 전 지식경제부 국가 연구ㆍ개발(R&D) 전략기획단장도 오르내린다.부활한 해양수산부의 수장에도 이목이 쏠린다. 우선 곽인섭 해양환경관리공단 이사장이 하마평에 오르내린다. 5년 전 해수부 폐지 때 격앙됐던 업계를 다독이는 중추 역할을 하면서 깊은 인상을 남겼고 행정 수행 능력도 무난하다는 평가다. 해수부 부산 유치가 무산될 경우 현지 민심을 달래기 위한 카드로 경남 출신인 곽 이사장이 중용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박 당선인의 후보 시절 중앙선대위 부위원장을 맡았던 유기준 새누리당 최고위원도 후보군이다. 해수부 부활 국민운동본부 자문위원장으로 왕성한 활동을 벌인 오거돈 전 해수부 장관의 기용 가능성도 거론된다.외교통상부의 통상 업무를 이관해 조직의 규모를 키운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에는 인수위 경제2분과 간사인 이현재 새누리당 의원이 유력 거론된다. 이 의원이 산업자원부와 통상산업부 등을 거친 전문가이자 중소기업청장 출신이란 점이 발탁 가능성을 높인다. 조직이 축소되는 외교부는 장관 후보로 인수위원인 윤병세 전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수석이 거론된다. 외무고시 10회인 그는 박 당선인의 외교안보 분야 핵심 참모로 주요 외교 공약을 입안했다. 각각 통상교섭본부장, 외교부 차관보를 지낸 새누리당 김종훈ㆍ심윤조 의원도 이름을 올리고 있다.국토교통부 장관에는 한만희 국토해양부 제1 차관의 승진 기용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부처 개편으로 어수선한 조직 분위기를 다잡고 업무의 전문성 측면에서 적합하다는 분석이다. 박 당선인 캠프에서 지방 공약 수립에 기여한 정창수 전 국토부 제1 차관도 하마평에 올랐다. 정 전 차관은 김종인 국민행복추진위원장 산하 지역발전추진단에서 추진위원으로 활동했다.새 정부의 첫 국방 수장은 안정적인 군 출신 인사가 기용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지난해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하는 등 남북이 군사적으로 민감한 시기인 만큼 민간인 출신 장관이 군을 통솔하기는 이르다는 판단에서다. 거론되는 인물은 김장수 전 장관, 남재준 전 육참총장(육사 25기), 이성출 전 한미연합사부사령관(육사 30기), 한민구 전 합참의장, 현 정승조 합참의장(육사 32기) 등이다.농림축산부로 이름을 바꾸는 농림수산식품부는 대선 과정에서 국민소통본부 광주전남본부장을 맡아 호남 지역에서 박근혜 당선인의 지지를 호소했던 정승 전 농식품부 제2 차관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박 당선인의 농업 공약을 담당했던 이상무 세계식량농업기구(FAO) 한국협회장도 물망에 오른다.조직 개편에 이어 박 당선인에게 다음 숙제로 주어진 '장관 인선'과 관련, 각계각층에서는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한 제언을 내놨다.고위 관료는 "협회나 이익단체장 출신이나 지역구 국회의원 출신은 특정 집단의 이익을 대변할 여지가 있다는 점이 우려스럽다"고 전했다.정치권 관계자는 "한 분야의 전문가보다는 박 당선인이 내세우는 '협치(協治)'의 묘를 살릴 수 있는 '제너럴리스트'를 골라야 한다"면서 "일과 능력보다 지역 안배를 우선시하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김혜원 기자 kimhye@<ⓒ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혜원 기자 kimhy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