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급식조리원, 왜 9일 총파업에 나서게 됐나

[아시아경제 이상미 기자]"자녀를 키우는 엄마의 마음으로 열심히 일해왔습니다. 그러나 비정규직으로 한 달 꼬박 일해서 100만원 안팎의 저임금을 받으면서 건강한 급식을 만들 수 없습니다." 전국 공립 초ㆍ중ㆍ고교의 급식 조리원들이 수학능력시험 다음 날인 9일 총파업에 나선다. 단 하루의 파업이지만 학부모들은 이날 학교에 아이들을 보낼 때 도시락을 챙겨줘야 하게 됐다. 학생들의 '밥상'을 책임지고 있는 학교 급식조리원들이 이처럼 파업에 나서게 된 것은 열악한 근무여건에서 아이들에게 제대로 된 급식을 해 주기 힘들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평균 40~50대 여성들인 학교 급식조리원들은 비정규직으로, 특히 열악한 근무여건에서 일하고 있다. 이들은 한 학교에서 10년을 일하더라도 근속년수를 인정받지 못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가 학교장이다보니 일상적인 고용불안정에 시달리고 있다. 학생 수가 줄어들거나 학교 예산이 부족하면 언제든 해고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노조원은 "학생 수가 줄지도 않았는데 조리원을 감원하기도 한다"며 "영양교사가 '다음주 부터 학교 나오지 말라'고 말하는 걸로 해고가 이루어졌다"고 말했다. 하루에 평균 8시간씩 거의 서서 일해야 하는 고된 노동이지만 평균 월급은 100만원선. 그것도 노조의 협상을 통해 올해 9월부터 약간 인상된 것이다. 급식실에서 일하는 조리원에게도 급식비를 받는 학교도 있어 식당에서 일하면서도 자신은 도시락을 싸와야 하는 경우도 있다. 대개 밥 먹을 시간이 따로 없어 5분 만에 선 채로 식사를 끝내야 하기도 하고 남는 음식으로 끼니를 해결하는 경우도 있다. 이같이 열악한 근무조건을 개선해달라며 급식조리원 등 전국 공립 초ㆍ중ㆍ고교의 비정규직 직원들이 수능 다음 날인 9일 총파업에 나서는 것이다. 이선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공동집행위원장은 "파업 찬반투표 결과, 재적인원의 70.3%가 투표에 참여해 92.2%의 찬성으로 파업이 가결됐다"고 7일 밝혔다. 민주노총 산하 3개 비정규직 노조의 연합체인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총파업 실행을 두고 지난달 23일부터 6일까지 찬반 투표를 실시했다.  연대회의는 학교 내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해 호봉제 도입과 교육감 및 장관의 직접 고용을 핵심내용으로 하는 교육공무직 신설 관련법 제정을 요구하고 있다. 이 위원장은 "현행 연봉제는 1년을 일하건 10년을 일하건 똑같은 월급을 강요한다"며 "근속년수에 따라 월급이 인상되는 호봉제로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학교장이 마음대로 해고할 수 없도록 교육감이 직접 고용해야 한다"며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더라도 비정규직인 이상 고용불안정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연대회의는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및 시도교육감과 단체교섭을 벌이거나 협상을 요구해왔으며, 지난달 23일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이 단체교섭을 거부한다며 이 장관을 상대로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을 신청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합법 파업인 만큼 법과 원칙에 따라 정당하게 대응할 것"이라며 "대체인력을 투입하거나 도급계약을 통해 도시락을 일괄적으로 공급하는 것은 부당노동행위이기 때문에 각 가정에 도시락을 싸오도록 안내하는 공문을 보낼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상미 기자 ysm1250@<ⓒ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이상미 기자 ysm1250@ⓒ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