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국감]정권 말, 다시 불거진 면세점 '몰아주기'의혹

민주통합당 이윤석 의원, 인천공항 면세점 대기업 '품목독점' 지적

[아시아경제 노승환 기자] 인천국제공항 내 롯데ㆍ신라 면세점의 특정 품목 독점 판매권 논란이 다시 불거졌다.국회 국토해양위 이윤석 의원(민주통합당)은 15일 인천공항공사로부터 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근거로 인천공항 2기 면세사업 기간(2008년 3월~2013년2월) 동안 롯데와 신라 면세점이 매출액 상위 4개 품목을 '독점' 판매하는 문제를 지적했다.현재 롯데는 술과 담배에 대한 '배타적' 판매권을 갖고 있고 매출액이 가장 많은 화장품ㆍ향수는 롯데와 신라 두 곳만 팔고 있다. 2008년 3월 2기 사업자 선정 시 과당경쟁을 막자는 취지에서 인천공항공사가 설정한 품목 구분이다.4개 품목은 올해 상반기 6개월 동안에도 매출액 상위 5위 안에 들 만큼 인기가 높다. 이 기간 향수를 포함한 화장품류는 6억1800만 달러 어치가 팔려 매출 1위, 담배는 1억300만 달러로 4위, 주류는 9800만 달러로 5위를 기록했다.또 다른 면세사업자인 한국관광공사는 4개 품목을 뺀 나머지 품목만 취급하고 있다. 이 의원은 이 때문에 막대한 매출액 감소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한국관광공사가 4개 품목을 취급했던 면세사업 1기(2001~2007년) 중 2004~2007년과 2기인 2008~2011년의 4개년 매출액을 비교한 결과 누적수익 기준 980억원의 매출이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같은 기간 롯데와 신라의 상황은 정반대였다. 면세사업 2기가 시작될 당시 롯데ㆍ신라 면세점의 시장점유율은 57%였으나 4년이 지난 현재 점유율은 80%까지 증가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의원은 이 같은 대기업의 판매권 독점으로 "면세사업에서 거둬진 이익의 공공부문 재투자가 뒷전으로 밀리고 있다"고 지적했다.한국관광공사는 면세점 수익으로 그동안 제주 중문관광단지와 경주 보문관광단지를 개발하는 등 여러 공공사업을 추진해왔다. 현 추세대로라면 이런 공공사업을 더 이상 하기 힘들어질 뿐더러 내년 2월이면 정부의 예고대로 한국관광공사 면세점이 문을 닫는다.이 같은 지적에 대해 인천공항공사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었다"고 해명했다. 인천공항공사 관계자는 "2008년 2기 면세사업자 국제입찰 당시 입찰가를 최대한 높이기 위해 매출이 많은 품목을 구분해 입찰을 진행할 수 밖에 없었다"며 "아울러 취급 품목을 제한을 통해 전문화와 서비스 질 향상이 가능하다는 판단도 있었다"고 설명했다.노승환 기자 todif77@<ⓒ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노승환 기자 todif77@ⓒ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