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만 100위권 업체 6곳 법정관리 들어갈 판수주 부진, 자금난 심화로 추가 디폴트 가능성 높아[아시아경제 조태진 기자]시공능력 38위 업체인 극동건설이 1차 부도에 이어 결국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건설업계에 부도 공포가 쓰나미처럼 번지고 있다.2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극동건설의 법정관리 신청이 받아들여질 경우 올해 들어서만 100위권 건설사 6곳의 경영권이 법원으로 귀속되게 된다.지난 5월2일 시공능력 30위 풍림산업이 법정관리를 신청한 것을 비롯해 우림건설(57위, 6월1일), 벽산건설(26위, 6월26일), 삼환기업(29위, 7월16일), 남광토건(39위, 8월1일) 등 매달 거르지 않고 경영의 정상궤도를 이탈하고 있는 상태다.건설업계 전문가들은 경기불황에 따른 수주 부진과 자금난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만큼 시공업체들의 부도 도미노 현상이 더 이어질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이들 업체는 2000년대 후반 부동산 개발 및 분양시장 침체에 직격탄을 맞았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국내 시장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았던 가운데 2000년대 중반 부동산 시장 활황기에 재미를 본 주택사업이 대규모 미분양으로 돌아오면서 금융비용을 버텨내지 못하고 백기를 든 것이다.특히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에 연대보증을 서게 되면서 은행권 채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 버텨낼 재간이 없는 케이스가 대부분이다.건설협회 관계자는 "2008년 이후 경기가 장기간 가라앉으면서 일감 부족에 따른 후폭풍이 누적되어 오다가 한꺼번에 폭발하는 양상"이라며 "워크아웃 중인 건설업체들도 인위적인 구조조정과 자산 매각 등 허리 졸라매기로 근근히 버티는 형국"이라고 답답함을 토로했다.더구나 풍림산업의 경우처럼 금융권이 건설사의 지원 요청을 외면하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어 워크아웃 상태인 건설사들의 추가 법정관리 선택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 관계자는 "현재 100대 건설사 가운데 30% 정도가 워크아웃 상태에 놓여있다"며 "채권단이 유동성을 거둬갈 수 있는 방안 보다는 추가 지원을 하지 않겠다는 쪽으로 입장을 정리하고 있어 상황이 더욱 심각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미분양 아파트를 담보로 은행 대출을 받은 건설사 직원들도 공포에 떨고 있다.상당수 중소형 건설업체들은 미분양 아파트를 직원 명의로 해놓고 은행 대출을 받았기 때문이다. 각종 불이익을 받지 않기 위해 많게는 10억원 이상 대출 부담을 안고 있는 직원들은 회사가 법정관리에 들어갈 경우 대출이자 대납 자체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심각한 재정난에 봉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협력업체들은 더욱 곤란한 지경에 빠지게 됐다. 잇단 중견 건설사들의 부도와 법정관리로 대금을 제대로 회수하지 못한 채 추석을 맞이할 처지에 놓인 전문건설업체들이 급증하고 있다. 중견 건설사들은 각각 수백곳의 협력업체들이 거래를 하고 있으며 대부분 전자어음 등으로 대금을 지급받고 있어 부도에 이은 법정관리 사태에 들어가면 대금수금과 어음의 현금화가 어려워진다.조태진 기자 tjjo@<ⓒ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조태진 기자 tjjo@ⓒ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