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B 이제는 네비게이션으로 쓴다

DGPS 구축현황 및 이용 범위

[이코노믹 리뷰 최재영 기자]DMB 방송을 이용한 네비게이션이 국내에서 개발돼 상용화 된다. 이 네비게이션은 기존 방식보도 더욱 정밀한 것이 특징이다. 국토해양부는 3일 “해상용으로만 사용하던 1m이내의 정밀 DGPS 위치정보를 육상교통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며 “세계 최초로 지상파 DMB 방송을 이용해 국민들에게 제공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DGPS란 GPS 위치오차를 보정해주는 위성항법보정시스템으로 10~30m의 오차를 1m 이내로 보정하는 것이 특정이다. 수신기가 별도로 필요하고 항해 선박이나 측지 측량, 산림자원관리 등 후처리 데이터가 필요해 제한적으로 이용돼왔다. 국토부는 2009년 전국 17개에 DGPS국을 구축했다. 국토부가 이번에 내놓은 DGPS는 지상파 DMB를 통해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큰 특징이다. 국토부 관곚다는 “2010년 8월부터 2년동안 별도의 수신기가 필요 없이 지상파 DMB를 통해 DGPS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을 개발했다”며 “DMB를 수신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이나 스마트폰 등을 사용하면 고정밀 위치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기술은 향후 DMB 방송과 관련한 산업이 해외 시장 진출 등 또하나의 시장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국토부는 KBS, MBC, SBS, YTNDMB 등 4개 지상파 DMB 방송사와 상호 협력해 2014년 상용방송을 목표로 9월부터 약 1년간 시험방송을 실시한다. 상용화 이후에는 차량 네비게이션은 물론, 육상 교통?물류, 레져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할 계획이다. 이코노믹 리뷰 최재영 기자 sometimes@<ⓒ 이코노믹 리뷰(er.asiae.co.kr) - 리더를 위한 고품격 시사경제주간지,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간국 최재영 기자 sometimes@ⓒ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