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 영국 등 선진국들이 제조업 중시 정책들을 연이어 내놓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해외로 나간 제조기업들의 U턴을 이끄는 지원정책을 더욱 활발히 펴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부품 소재기업들의 경쟁력 향상, 클러스터 기능 강화 등 산업생태계의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는 설명이다.LG경제연구원은 29일 '선진국 제조기업 U턴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를 통해 "신흥국의 가파른 임금 상승 등에 따라 글로벌 제조기업들의 생산지 전략이 달라지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보고서는 "우리나라의 정책방향도 이러한 간접 비용들을 줄여주고, 외부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제조기반의 강화에 있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보고서는 "2000년대 들어 국내에서도 혁신 클러스터 조성이나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와 같은 산업생태계의 조성 움직임이 있어 왔고 어느 정도 성과도 있었다"면서도 "다만 그 동안 정부 주도하에 클러스터가 인위적으로 구성됨에 따라 아직까지 네트워크 속에서 경쟁과 협력으로 혁신이 촉발되는 자생적인 클러스터 효과를 누리고 있다고 보기는 힘들다"고 평가했다.입지규제, 정치적 제약 등으로 기업규모에 의해 입주를 제한 받거나, 생산기능이 제외된 불완전한 형태의 클러스터가 여전히 계획, 조성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또한 지방정부 주도하에 조성되고 있는 산단들은 중복과잉투자 및 혁신역량 부족 등도 문제점으로 꼽혔다.보고서는 "제조업 생태계 조성에는 우리나라 기업에만 염두에 둘 필요는 없을 것"이라며 "신흥국에서 이탈하는 선진국 제조기업들의 국내 투자를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인프라, 제도, 노사관계 등 산업환경에 있어 경쟁력 있고 개방적인 환경을 만드는 동시,국내 글로벌 제조기업들을 최대한 활용하여 글로벌 R&D, 부품소재기업들을 유치, 연계해야 한다는 주장이다.보고서는 "선진 각국들은 성장활력 제고, 고용창출, 무역수지 개선을 목적으로 자국 내 제조업 기반을 강화하고 있다"며 "제조업 경쟁력이 약화돼왔던 미국, 영국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제조업 중시 정책들을 내놓고 있으며, 제조강국인 독일, 일본도 자국의 유리한 생산기반을 더욱 강화시키려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 정부도 한미, 한EU 자유무역협정(FTA)을 기점으로 국내에서도 U턴 기업에 대한 지원정책을 내어놓고 있지만 저부가가치, 노동집약적 제조업들이 기업 유인책만으로 기업U턴을 유도하는 것은 쉽지 않다"며 "부품 소재기업들의 경쟁력 향상, 클러스터 기능 강화 등 산업생태계의 경쟁력을 키우는 것이야말로 제조기업 U턴의 지름길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조슬기나 기자 seul@<ⓒ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조슬기나 기자 seul@ⓒ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