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금리 담합' 파생상품에 불똥(종합)

CD금리 폐기 희박하지만..4500조 시장 신인도 하락불안한 외국인 투자자 '대거청산 우려' 목소리[아시아경제 김유리 기자]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담합 논란의 파장이 일파만파로 번지고 있다. 시장에서는 4500조원 규모의 CD금리 관련 파생상품시장에까지 불똥이 튀어 외국인 투자자들의 국내 파생상품 대거 청산을 우려하는 목소리까지 들린다. 그러나 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담합 논란으로 CD금리가 폐기되는 '최악의 시나리오'는 현실화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입을 모았다. 오히려 이번 논란이 CD금리 제도 개선 및 현실화로 이어진다면 순기능을 할 가능성도 있다고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20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CD금리를 기초로 한 파생상품은 이자율스와프(IRS) 4332조원, 이자율선물 5조1000억원, 이자율옵션 250조3000억원 등 총 4587조원에 달한다. 이 밖에 CD금리를 기초자산으로 한 구조화채권인 변동금리부사채(FRN)가 20조3000억원, 파생상품연계증권(DLS)이 6조8000억원 규모로 추산되고 있다.이 상품들은 최근 공정거래위원회의 CD금리 담합 조사에 반응을 보이고 있다. CD금리를 변동금리로 이용하는 원화 IRS 3년물의 경우 공정위가 CD금리 담합을 조사하기 이전 연 2.86%에서 전날 장 중 연 2.62%까지 급락했다가 2.75%에 마감했다. IRS가 하락한 것은 조사 이후 CD금리가 내리면서 변동금리를 받고 고정금리를 지급한 투자자들이 손해를 보고도 매도에 나선 탓이다.이자율스와프는 3개월에 한 차례 결제가 이뤄지지만 선도계약이나 옵션계약은 매일 가격이 바뀐다. CD금리가 하루만 고시되지 않아도 결제가 이뤄지지 않을 수 있어, 관계자들은 이번 논란에 더욱 귀를 기울이고 있다. 또한 IRS, 구조화채권 등은 평균 만기가 10년으로 장기물이 대부분이어서, 이번 파장으로 CD금리가 폐기되면 전 물량 재계약을 불러올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들린다.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들은 CD금리 폐기 우려는 과도한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연계된 상품이 너무 많아 파장이 예상 가능한 수준을 넘어서기 때문이다. 금융투자협회 관계자는 "FRN이나 DLS의 경우 기초자산인 CD금리가 폐기되면 대체가격을 결정하거나 청산절차를 밟게 되는 데다, 기초자산이 바뀌는 경우 어떻게 대처할지 규정 자체가 없는 상품도 있어 폐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CD금리 관련 파생상품 시장 규모가 3월 말 현재 4500조원이 넘어서는 상황에서 당장 이를 대체할 만한 금리를 하루아침에 만들어낼 수 없다는 것은 대부분 인지하고 있는 사실이어서, 대안 없는 폐기 우려는 과도하다는 설명이다. CD금리 '조작'으로 결론이 모아질 경우 국내 파생상품 시장에 대한 대외 신인도 하락은 우려되는 부분이다. 천문학적 금액의 국제소송도 가능하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오히려 이번 기회에 구조 개선을 통한 시장 활성화가 이뤄진다면 중장기적으로는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김유리 기자 yr61@<ⓒ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김유리 기자 yr61@ⓒ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