亞 역내 불안요인이 경제 옥죈다

중 경기 부진·각국 내수 둔화· 외인 투자금 유출 등 우려

[아시아경제 백종민 기자] 한국 등 아시아 국가들이 내수 부진과 중국경제의 부진이라는 내부 암초를 만나 시험대에 올랐다는 우려가 등장했다.지난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아시아 경제가 미국의 주택 가격 붕괴라는 외부적 요인으로 위험을 맞았다면 이번에는 내부적 문제로 회복력을 다시 평가받게 됐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1일(현지시간) 분석했다. 저널은 중국에 대한 의존도와 내수 성장 둔화, 최근 급증한 외국자본 유입, 내수 부진 등이 아시아의 아킬레스건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아시아는 지난 2008년 금융위기 때 정부 재정 투입과 금리 인하 등으로 비교적 이른 시일 내에 위험을 극복할 수 있었지만 최근의 유럽 재정위기 속에 이같은 내부적 요인이 부정적인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는 지적이다.HSBC의 아시아 경제 리서치 공동 대표인 프레데릭 뉴먼은 "아시아가 2008년 위기 때보다 취약한 내부적인 요인 때문에 둔화기로 진입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시아 국가들은 고속 성장을 유지해온 중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가 높고 낮은 금리와 소비 진작 정책 등을 통한 내수 증대, 최근 몇년 사이에 유입이 급증한 외국 자본 등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유럽의 위기에 따른 충격을 덜 받았다. 하지만 이제는 이들 긍정적인 요인이 부정적 요인으로 바뀌고 있다.아시아 국가들의 중국 주요 수출의존도가 큰 상황에서 중국 최근 경기 둔화는 적신호가 되고 있다는 평이다. 중국의 성장세가 느려지면 중국이 최대 수출 시장인 일본, 한국,태국, 말레이시아는 충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지난 5월 중국내 굴삭기 판매가 1년전에 비해 42%나 감소했다는 발표는 현대중공업 일본의 코마츠와 같은 기업이 중국 경기 둔화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예가 된다고 저널은 분석했다.수출이 부진하면 내수가 뒷받침돼야 하는데 이마저 상황이 여의치 않다는데 우려가 있다. 성장세를 유지해 왔던 아시아 국가의 내수 증가세도 둔화하고 있다. WSJ는 소비 지출 증가세가 둔화한 아시아 국가로 한국, 중국, 홍콩을 지목했다. 뉴먼 대표는 "강한 신용 증가세와 자산 가격의 상승으로 아시아 국가의 내수가 성장했지만 주택 등 자산 가격이 하락하면 아시아 국가의 소비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 중국의 부동산가격 상승세는 완만해지고 있다. 낮은 이자율과 함께 아시아 경제의 성장세를 이끌어왔던 외국자본도 이탈 조짐을 보이고 있다.노무라증권에 따르면 지난 2009년 이후 아시아 신흥시장에 7500억달러가 유입됐지만 유럽은행이 자금 회수를 위해 대출을 줄이고 투자자들이 주식과 채권을 팔면서 외국 자금이 빠져나가기 시작했다고 분석했다.로버트 수바라만 노무라의 이코노미스트는 투자자들이 아시아에서 투자한 자금을 빼내면 기업 활동과 생산이 마비될 수 있다면서 "자본의 흐름이 무역보다 경제에 더 큰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사람들이 과소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단 아시아국가 중앙은행들이 서방진영에 비해 경기 부양을 위한 금리 인하를 단행할 여지가 있고 급격한 재정적자 없이도 부양책을 내놓을 수 있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했다.백종민 기자 cinqange@<ⓒ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백종민 기자 cinqang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