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지펀드 100일, 증권사들 '시즌2' 기다리나

대신·대우증권 등 4곳만 신청···운용인가 속도 더뎌

[아시아경제 서소정 기자]출범 100일을 맞은 한국형 헤지펀드를 놓고 잇따라 도전장을 내민 투자자문사, 외국계 운용사 등이 최근 자의반 타의반으로 관망세로 입장을 바꿔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18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에 이어 2차로 진행되는 한국형 헤지펀드 운용인가에 대신증권, 대우증권, 밀레니엄파트너스, 브레인투자자문 등 4곳이 신청을 마치고 서류심사를 받고 있다. 당초 2차 인가신청에는 우리투자증권과 현대증권을 비롯한 대형증권사와 가울투자자문 등 투자자문사가 대거 신청할 예정이었지만 최근 분위기가 달라졌다. 지난해 12월 출범한 한국형 헤지펀드 운용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 데다 진입장벽이 대폭 낮춰질 것으로 확실시되면서 인가신청을 미루는 곳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현재 펀드 및 일임재산 수탁고 10조원 이상 운용사에 헤지펀드 진입을 허용하고 있다. 그러나 '수탁고 10조원 이상' 기준은 1년 일몰제로 도입돼 올해 말 만료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진입장벽이 낮춰지면 그때 들어가도 늦지 않다고 여긴 운용사들이 뒷짐을 지고 있다. 현대증권은 당초 스핀오프를 통해서 헤지펀드 운용에 나설 계획이었지만 최근 그룹 내 현대자산운용을 통해 추후 진출하는 것으로 계획을 수정했다. 헤지펀드 인가를 미루는 업체들이 많아진 것은 불확실성이 쉽게 걷히지 않기 때문이다. 섣불리 나섰다 제도변경에 따른 비용손실만 부추길 수 있다는 위기감이 작용하고 있다는 평가다. 더딘 인가속도 역시 한 몫했다. 당초 금융위는 1분기 안에 예비인가를 낸다는 계획이었지만 예상보다 서류심사 일정이 길어지면서 도전장을 내밀었던 증권사와 투자자문사들의 속은 타들어 가고 있다. 헤지펀드 운용을 위해 컴플라이언스 부서를 독립적으로 운영하고, 헤지펀드 전담 인력 3명을 별도로 배치했는데 인가가 늦어지다보니 비용 부담이 늘고 있는 탓이다. 예비인가 결과를 애타게 기다리고 있는 외국계 운용사도 답답하기는 마찬가지다. 외국계 운용사가 헤지펀드 운용업을 하려면 자기자본 240억원 이상 기준과 국제신평사 등급 등 별도의 재무건전성 요건 등을 충족해야 한다. 박건영 브레인투자자문 대표는 "하루라도 빨리 헤지펀드 운용인가가 나야 재배치한 인력들을 투입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된다"며 "헤지펀드 사업의 성패는 검증된 운용성과(트렉레코드)가 바탕이 되기 때문에 시장 선점 차원에서라도 인가가 나주길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미국계 운용사인 밀레니엄파트너스가 외국계 운용사로서는 처음 인가신청을 내 보완 서류작업 등 고려 사항이 많다"며 "2명의 직원이 서류심사를 전담하고 있는데 헤지펀드 운용인가 외에도 지배주주변경, 자문업등록 등 업계 이슈가 많다보니 인가 작업이 늦춰지고 있다"고 해명했다.한편 업계에서는 4월 말에서 5월 초 예비인가가 나고 본인가는 6월쯤 마무리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13일 기준 한국형 헤지펀드를 출시한 운용사는 11개며, 총 설정규모는 5735억원에 이른다. 서소정 기자 ssj@<ⓒ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서소정 기자 ssj@ⓒ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