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최근 출시되는 럭셔리 세단의 이미지 트렌드는 역동성이다. 대형 세단은 중후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과감히 탈피하는 대신 젊고 스포티한 감각을 입히는 게 그야말로 대세가 됐다.그렇다면 대형차의 역동적인 이미지는 어디에서 결정될까?구상 한밭대 산업디자인학과 교수는 최근 공개된 기아차 대형세단 K9을 통해 "차량 앞과 뒤의 비율이 차량의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구 교수는 "세단은 엔진룸과 객실, 트렁크 세부분의 길이 비율에 의해 이미지가 좌우된다"고 덧붙였다. 즉 트렁크 길이가 보닛의 절반 이상이 될 때 세단은 보수적이고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는 반면, 트렁크가 보닛의 절반에도 못 미칠 경우 다이내믹한 이미지가 형성된다는 것이다.
캐딜락 드빌
구 교수에 따르면 1990년대 미국의 대표적인 럭셔리차 브랜드인 캐딜락의 드빌의 경우 전체 차량의 길이를 100으로 봤을 때 보닛과 트렁크의 비중은 각각 27과 18을 나타냈다. 트렁크 길이가 보닛의 절반 이상에 달하는 만큼 뒷부분이 다소 길어보이는 효과를 얻게 된다.대형 세단의 경우 품격을 나타낸다는 점 때문에 딱딱하고 무거워 보이는 게 일반적이었다. 포드 링컨 타운카 역시 드빌과 비슷한 이미지를 풍긴다.기아차 대형차 오피러스 역시 처음 출시됐을 때 보닛이 26%, 트렁크가 16%로 안정적인 형태를 보였다.하지만 2000년대 이후 점차 바뀌기 시작해 대형세단 시장에도 스포티한 이미지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구 교수는 "BMW 7시리즈의 경우 앞부분은 29%로 길어진 반면 트렁크는 12%로 오히려 짧아졌다"면서 "역동적이고 다이내믹한 이미지를 구현하기에 충분했다"고 설명했다.
기아차 K9
기아차 대형세단 역시 이 같은 트렌드에 편승했다. 준대형세단인 K7이 보닛이 26%이지만 뒷부분은 12%로 보닛길이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구 교수는 "K9의 경우 역동적인 이미지가 더욱 강조돼 트렁크가 10%로 보닛 길이의 3분의1 수준에 불과하다"고 분석했다.구 교수는 "대형세단이 쿠페 이미지를 추구하고 있다"면서 최근 세단 디자인의 변화를 요약했다.최일권 기자 igchoi@<ⓒ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최일권 기자 igchoi@ⓒ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