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이영규 기자]지난해 말 기준 경기도 노숙인은 442명으로 최근 2년 새 43.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절반은 거리 노숙인으로 40~50대가 대부분이었으며 수원과 성남에 가장 많았고, 주로 철도나 지하철역에서 생활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경기개발연구원 김군수 선임연구위원은 1일 '경기도 노숙인의 실태와 정책방향'에서 경기도 거리노숙인의 열악한 실태를 지적하고 이에 대한 지원을 늘릴 것을 주문했다. 김 선임연구위원에 따르면 2011년 기준 경기도 노숙인은 442명으로 전국 4492명의 9.8%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 2009년 308명보다 43.5% 증가한 수치다. 노숙인이 가장 많은 곳은 서울로 2784명(62.0%)이었으며, 부산이 463명(10.3%)으로 뒤를 이었다. 경기도내 노숙인 중에서 수용시설인 '쉼터'에서 생활하는 사람은 49.8%에 불과했으며 나머지는 일정한 주거 없이 생활하는 거리 노숙인으로 집계됐다. 경기도에서 노숙인이 가장 많은 지역은 수원과 성남으로 조사됐다. 거리노숙인의 경우 ▲수원 237명 ▲성남 112명 ▲부천 30명 ▲안양 29명 ▲의정부 15명 순이었다. 또 거리노숙인 중 43.7%는 철도ㆍ지하철역 일대에서 기거하며 나머지는 ▲지원상담센터(32.9%) ▲지하상가(10.4%) ▲공원(4.5%)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40~50대가 전체 노숙인 중 65.7%로 가장 많았다. 20~30대 젊은 층 비중도 19.4%를 차지했다. 일을 하고 있는 노숙인은 44.8%로 대부분 일용직에 종사하며 나머지는 일을 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이에 따라 노숙인들에게 안정적 일자리를 제공하는 방안으로 거리노숙인과 고령ㆍ장애인 중 근로능력이 있는 노숙인이 다른 노숙인을 돌보는 '노-노 케어사업'을 확대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또 임시 주거지원 사업을 확대해 거리 노숙인이 주거를 갖고 사회보장 사각지대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전국대비 경기도 노숙자 비중은 9.8%이나 임시주거지원 실적은 5%이기 때문이다. 그는 아울러 희망자는 많지만 혜택대상은 적은 매입임대주택사업도 자활가능성이 높은 노숙인을 위해 확대할 것을 주장했다. 노숙인 의료서비스 보강을 위해서는 국공립의료원과 민간의료기관 간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경기도는 체계적인 노숙인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노숙인 복지전달 통합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며 "노숙인 정책을 경기도 무한돌봄 및 직업훈련사업과 연계시켜 효율을 높일 것"을 조언했다.이영규 기자 fortune@<ⓒ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이영규 기자 fortun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