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은행號, '윤용로-장명기' 체제로 출발할 듯

[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그룹이 인수한 외환은행의 경영은 앞으로 '윤용로-장명기' 체제로 운영된다. 특히 외환은행의 경영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빠르면 내달 10일부터 본격 업무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3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론스타는 지난 29일 주주명부 임원 명단에 윤용로 하나금융 부회장과 장명기 전 외환은행 수석부행장을 포함시켜 외환은행 측에 통보했다. 외환은행은 내달 10일 이사회를 열어 3월15일 임시 주주총회에서 논의할 안건을 정하고 클레인 행장 겸 이사회 의장의 공백을 막기 위한 대행 선임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클레인 행장은 이사회를 앞두고 물러날 전망이다.외환은행은 클레인 행장을 대행할 상임이사가 없어 법원에 임시 대표이사를 청구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윤 행장 내정자는 임시주총 이전부터 외환은행장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장 전 부행장은 신한은행 출신이면서 외환은행의 속사정에 밝다는 점에서 외환은행 수석부행장에 가장 적합한 인물이라는 게 하나금융 측의 판단이다. 윤 부회장과 장 전 수석부행장이 등기임원으로 선임될 경우 외환은행 등기임원은 기존 1명에서 2명으로 늘어나게 된다.론스타 측이 선임한 외환은행 사외이사들의 교체도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하나금융은 이미 외환은행 신임 사외이사로 오세종 전 국민은행 이사회 의장과 정광선 중앙대 명예교수, 천진석 전 하나증권 대표, 홍은주 전 iMBC 대표, 하용이 전 한국은행 홍콩 사무소장 등을 내정했다.이와 함께 하나금융은 오늘 준(準) 회장추천위원회 성격의 경영발전보상위원회(경발위)를 열어 김승유 회장의 후계 구도를 논의할 예정이다.김 회장은 이미 여러차례 회장직에서 물러나겠다는 의사를 밝혔지만 통합 절차 등을 이유로 연임해야 한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아 진통이 예상된다.오는 3월 말로 임기가 만료되는 김 회장은 이미 퇴임 의사를 재차 밝혔다. 그동안 핵심과제로 추진했던 외환은행 인수가 확정된 만큼 하나금융을 4대 금융지주사의 하나로 키운다는 자신의 소임을 다했기 때문이라는 이유에서다.특히 김 회장은 외환은행의 인수 승인이 1년 넘게 미뤄지면서 주변에 "나도 지친다"면서 간접적으로 사퇴 의사를 내비쳐왔었다. 하지만 하나금융과 외환은행의 통합 과제가 산적한 만큼 연임을 바라는 목소리도 높은 상황이다. 조강욱 기자 jomarok@<ⓒ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조강욱 기자 jomarok@ⓒ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