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속 주식talk②] 회사를 파산시킨 트레이더의 탐욕

겜블(Gamble, 미국·1999년 3월 개봉)

[아시아경제 지선호 기자] 금융의 가장 큰 자원은 사람이다. 특히 회사 자금을 직접 운용하는 트레이더는 회사의 핵심 인재들로 채워진다. 이들에게 주어진 권한은 회사에 막대한 수익을 안겨 주는 동시에 상상할 수 없는 피해를 입히기도 한다. 영화 ‘겜블’은 한 명의 트레이더가 경우에 따라 자신이 몸담고 있는 회사를 파산시킬 수도 있다는 사례를 극명히 보여준다. 더구나 이 영화는 실화를 바탕으로 한다는 점에서 지금도 증권가에서는 교훈으로 남아있다.주인공 닉 리슨은 영국의 평범한 은행원이다. 베링스은행에서 일하는 것조차 감지덕지 할 정도로 그는 아무런 주목을 받지 못한다. 하지만 기회는 도둑처럼 찾아왔다. 그 조차 그게 기회인 줄은 몰랐다. 은행에서 처치 곤란한 인도네시아 채권을 정리하라고 한 것.인도네시아 채권 정리 업무는 그의 인생을 바꾼다. 영화의 배경인 1990년대 말, 유럽 금융권에서 지구반대편 일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은 없었다. 아시아, 특히 동남아시아는 그들에게 투자대상이 아니었다. 그러나 주인공 닉이 이 업무를 맡으면서 인도네시아는 엄청난 성장을 시작하고, 2000%의 채권 수익을 안겨 준다. 은행 내에서 승승장구 하는 닉. 그는 자리를 옮겨 트레이더로 자신의 야망을 넓힌다. 베링스 은행은 그에게 아시아 금융의 핵심 도시 중 하나인 싱가포르 지점을 맡기고 아시아 주식 담당으로 임명한다. 닉은 본사와 떨어져 감시가 느슨한 싱가포르에서 거래를 늘려간다. 한 때 그는 회사 수익의 5분의 1을 안겨줬다. 하지만 막대한 수익 뒤에는 예상치 못한 위험이 숨어있었다. 한 번 투자해 실패해 손해를 본 닉은 팀과 함께 손실을 메우기 위해 더 큰 위험에 뛰어든다. 결국 회사 전체를 파산시키기에 이른다. 일부 증권사들은 트레이딩 사업부서 내에 자기자본으로 주식, 선물, 옵션 트레이딩을 하는 팀을 따로 운영한다. 이들이 하루 동안 거둬들이는 수익은 수십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반대로 손해 규모도 일반인들이 상상하기 힘들정도로 크다.철저히 팀으로 운영되는 트레이더들은 이직을 할 때도 팀 단위로 움직이곤 한다. 이 때문에 팀 리더의 역할이 중요하다. 오히려 어느 회사에 속해 있느냐 보다 어느 팀에 서 일하느냐를 더 중요하게 여길 정도다. 이들의 투자 방법과 과정은 고도로 복잡해 자세히 알기는 힘들다. 지금의 트레이더들은 자기 판단 뿐 아니라 알고리즘을 이용해 거래를 한다. 프로그램 매매로 리스크를 낮추고, 주가 폭락 등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영화의 실제 인물인 닉 리슨은 1995년 싱가포르에서 6년6개월의 징역형을 언도받았다. 1762년 세워진 영국의 상징, 베어링은 이 사건으로 단돈 1파운드에 팔린다. 지선호 기자 likemore@<ⓒ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지선호 기자 likemor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