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기업소모성자재 구매대행(MRO) 시장을 둘러싸고 마찰을 빚고 있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한데 모여 이야기를 나눴지만 뾰족한 답을 찾지 못했다.영업대상을 구분하자는 큰 틀에는 공감했지만 구체적인 사안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한 결과다. 특히 MRO업계 1위인 LG 계열 서브원이 중소업계와 큰 입장차를 보여 합의점 도출을 위한 막판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관련업계에 따르면 27일 열린 MRO실무위원회 4차 조정회의가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마무리됐다. 앞서 세차례 회의가 MRO 시장현황과 대·중소기업간 역할 등에 관한 원론적인 수준의 이야기를 하는 자리였다면 이번 4차 회의는 양측간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한 자리였다.회의에 참석한 한 중소업계측 관계자는 "대기업MRO업체들이 어디까지 영업할 것인지를 두고 서로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지만 일부 대기업이 중소업계 의견을 수용할 수 없다고 반발해 결국 합의에 실패했다"고 말했다.양측간 협의는 LG 서브원과의 조정에서 부딪쳤다. 서브원이 '중소기업이라도 대형MRO업체에 먼저 공급을 요청할 때는 거래하겠다'는 조항을 넣자고 했으나 중소업계가 난색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기업 지위를 악용할 우려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에 따라 나머지 대기업과 협의한 사항에 대해서도 합의가 미뤄졌다.각 대형MRO업체들의 특수사정을 감안하자는 데 대해선 중소업계도 수긍했다. 코오롱 계열 코리아이플랫폼(KeP)의 경우 내부 계열사를 통한 매출비중이 적은 만큼 영업할 수 있는 범위를 1500억원으로 낮췄고, 포스코 계열 엔투비의 경우 MRO물품이 품질과 관련돼 있다는 점을 감안해 1차 협력업체까지 거래할 수 있게 했다.서브원은 지난 6월 중소업계와 MRO 상위 4개 업체가 사업조정을 할 때도 가장 뒤늦게 합류했다. 삼성·SK·한화 등 주요 대기업들이 그룹 차원에서 MRO사업과 관련해 전향적인 대책을 내놓을 때도 LG는 꿋꿋이 버텼다.이번 회의에서도 합의점을 찾지 못함에 따라 회의를 중재한 동반성장위원회가 강제조정안을 내릴 가능성도 높아졌다. MRO업종이 최근까지 사회적으로 논란이 많았던데다 대·중소기업간 대립이 첨예해 의견조율이 필요한 상황이기 때문이다.그나마 서로간의 시장을 어느 정도 구분하는 데 공감대를 형성한 것은 성과라 할 수 있다. 중소업계는 대형MRO업체들에게 영업대상을 그룹 내부계열사나 대기업만으로 제한해달라고 요구했다. 문제는 대기업 범위였다. 중소업계는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소속 기업만을 대기업으로, 대형MRO업체들은 중견기업도 대기업으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결국 이날 해당기업의 연간매출액 3000억을 기준으로 영업대상을 나누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형MRO업체들의 거래범위를 3000억원 이상으로 결정, 그 이하는 MRO 관련 중소업체들이 거래키로 한 것이다.최대열 기자 dychoi@<ⓒ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최대열 기자 dychoi@<ⓒ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최대열 기자 dychoi@ⓒ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