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루타 극비문서 발견, '실험 과정 상세히 담겨 있어'

[아시아경제 장인서 기자] 일본 관동군 731부대의 중일전쟁 당시 마루타 실험 극비문서가 발견돼 충격을 주고 있다.16일 도쿄신문을 비롯한 일본의 언론들은 "일본 시민단체가 '일본군이 중일전쟁에서 세균 무기를 6차례 사용해 1, 2차 감염자가 2만 6,000명에 달했다'는 내용의 극비문서를 발견했다"고 일제히 보도했다. 앞서 지난 15일 '731부대의 실체를 밝히는 모임'이라 명명한 이 시민단체는 도쿄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지난 7월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간사이 분관에서 731부대 극비문서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 SBS 뉴스방송 화면 캡쳐

이 극비문서에는 731부대가 중일전쟁 당시인 1940년부터 1942년에 걸쳐 중국 길림성과 절강성, 강서성 등에서 페스트균에 감염된 벼룩을 살포하고 세균실험을 진행한 과정이 담겨 있다. 특히 벼룩을 살포한 날과 양, 그리고 1,2 차 감염자가 무려 2만5946명에 이른다는 구체적인 사실까지 기록돼 있어 주목을 끌고 있다.

▲ SBS 뉴스방송 화면 캡쳐

이에 시민단체는 "이는 옛 일본군의 세균 무기 사용을 입증하는 귀중한 자료"라며 일본 정부에 대해 731 부대의 진상을 밝히고 유족에 대한 사과와 배상을 요구한다고 피력했다. 한편 일본 관동군 소속의 731부대는 일명 마루타 부대로 불리며 생화학 무기개발을 위해 전쟁 포로들을 상대로 생체해부, 냉동실험, 세균전 등의 실험을 자행했으나 일본 정부는 이들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 SBS 뉴스방송 화면 캡쳐

장인서 기자 en1302@<ⓒ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온라인뉴스부 장인서 기자 en1302@ⓒ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