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총 작동되나?'…구멍 뚫린 공항방호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한국공항공사가 김포공항 등 14개 국내공항에서 사용하는 총기에 대한 관리를 허술하게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고도제한 대상인 공항 인근 신축 건축물을 방치하는 등 안전 불감증이 심각하다는 지적도 나왔다.감사원이 11일 공개한 한국공항공사에 대한 기관운영감사 결과에 따르면 공항공사는 김포공항 등 14개 공항 경비를 위해 청원경찰과 특수경비원 방호인력을 배치하고 있다.통합방위법 시행령에 따르면 이들 방호인력이 총기를 사용할 경우 자체방호계획을 수립해야 하지만, 2004년부터 수립된 공사의 자체방호계획에는 방호인력의 총기사용 규정이 빠져있다.더욱이 김포공항을 관리하는 서울지역본부의 경우 "총기를 외부로 반출할 경우 관리하기 어렵다"며 연 2회 실시되는 사격훈련에 일부 총기만 반출하도록 했다.공사의 무기출납부에는 최근 3년간 같은 총기로만 사격연습을 한 것으로 기록됐고, 청원경찰 등이 개인용 총기 관리를 하지 않아 훈련에 사용되지 않은 총기의 경우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었었다. 감사원은 "실제 출고된 총기의 번호도 무기출납부에 정확하게 기록하지 않아 실제 사용한 총기와 미사용 총기를 구별할 수 없었다"며 "비상사태가 발생했을 때 경비 업무 수행이 어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공사는 또 항공기 안전운항을 위해 공항 주변 건축물 신축을 허가할 경우 준공 후 높이 초과 여부 등 건축이행사항을 점검해야 하지만, 김포공항 주변 등 37개 건축물을 방치하다 감사원에 적발됐다.이 밖에도 공사는 예상 이용 승객에 대한 검토없이 14개 국내공항에 '홈 탑승권 시스템(인터넷에서 항공표 예약 후 바코드를 통해 항공기 체크인)'을 도입했다. 지난해 7월부터 올해 4월까지 14개 공항의 평균 이용률은 1.67%로, 두 개 공항에선 일 평균 이용객이 1명도 없는 등 28억여원의 설치비와 연간운영비 6억여원이 낭비되고 있다.공항 증축 등 공사가 발주한 각종 입찰 관련 특혜도 심각한 수준이었다. 김포공항의 경우 외각경비 과학화 시설개선 사업 입찰에서 사업 등록도 하지 않지 않은 업체와 계약금액 43억여원 상당의 계약을 부당하게 체결했다. 제주국제공항은 국제선 확장공사를 진행하면서 특정업체와 수의계약을 맺어 26억여원이나 더 지불했다.감사원은 국토해양부 장관과 공사 사장 등에 입찰비리 연루 직원들에 대한 징계를 요구하고, 부실 관리 부분에 대한 시정조치를 통보했다.지연진 기자 gyj@<ⓒ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지연진 기자 gyj@ⓒ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