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민자도로 통행량 과다예측해 혈세낭비'

[아시아경제 이영규 기자]경기도가 민자사업으로 추진한 도로의 통행량을 과다하게 예측하는 바람에 지난 2009년과 2010년 총 152억 원의 운영수입을 보전해 준 것으로 드러났다. 28일 경기도가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김태원 의원(한나라ㆍ고양덕양을)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일산대교와 제3경인대교의 예측통행량 대비 실제 통행량 달성률은 61.1%에 불과했다.  연도별 통행료 예상수입 대비 실제 수입 달성률을 보면 일산대교의 경우 2008년 44.0%, 2009년 48.4%, 2010년 54.6%였다. 제3경인대교도 지난해 63.0%에 불과했다. 이처럼 예상 통행량에 비해 실제 통행량이 크게 줄면서 경기도가 민자 업체에 보전해 준 운영수입금도 2009년 52억4000만원, 2010년 100억3900만 원 등 총 152억 7900만원에 달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당초 통행량 예측 시점에서는 검단, 영종도, 송도 신도시 택지개발이 원활하게 진행될 것으로 봤지만, 이들 지역의 택지개발 사업이 지연되면서 결과적으로 예측 통행량이 저조하게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현재 택지개발사업이 진행되고 있지만 현재 부채증가 등 자금사정이 좋지 않은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시행기관으로 있고, 부동산 시장 위축 등으로 인해 사업이 완료되기 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며 "현재 조금씩 통행량이 늘어나고 있지만 추세대로라면 내년에도 운영수입을 보장해 줘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김 의원은 "택지개발지구 내에 연결도로를 우선적으로 공사해서 민자도로와 연결하는 방안을 마련, 통행량이 늘어나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이영규 기자 fortune@<ⓒ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이영규 기자 fortun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