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연미 기자] 소비자 물가를 정말 연평균 4.0%에 잡아둘 수 있을까. 정부가 '2011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물가 전망치를 수정한지(3% 수준→4.0%) 하루 만에 회의론이 돌고 있다. 1일 통계청이 조사한 '6월 소비자물가'는 전월비 0.2%, 전년동월비 4.4% 올랐다. 상반기 평균을 내보면, 1년 전과 비교한 물가 상승폭은 4.3%에 이른다. 정부의 목표대로 연간 물가가 4.0% 오르는 데 그치려면, 하반기 평균 상승폭은 3.7%에 머물러야 한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농산물과 석유류처럼 수급의 영향을 크게 받는 품목을 빼고 보는 근원물가의 흐름이 심상치 않다. 근원물가 상승률은 지난 2월 3.0%대에 진입한 뒤 6월들어 3.7%까지 급등했다. 2009년 5월(3.9%)이후 25개월 사이 최고치다. 당장 이달 6일부터는 정유사들의 기름값 100원 할인도 마무리 된다.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이 거듭 "기름값 연착륙"을 당부해 정유사들이 한 번에 100원을 올리지는 않겠다고 했지만, 체감 물가엔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줄줄이 오르는 가공식품 가격과 슬그머니 오른 외식비도 물가를 자극하는 요인이다. 연초 한파에 구제역이 겹쳐 농산물 가격이 불안정한 지금, 예년보다 추석이 일찍 찾아오는 것도 걱정스럽다. 이런 상황에서 공공요금은 줄줄이 올라간다. 소비자 물가를 100으로 봤을 때 가중치가 16.3%에 이르는 주요 변수다. 행정안전부가 내놓은 '지방공공요금 관리 가이드라인'에 따라 하반기 중 서울과 경기, 인천에선 시내버스와 지하철 요금이 10% 정도 인상된다. 대구와 대전, 광주, 울산, 전북, 강원, 제주 등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들도 최근 3~4년 사이 물가 상승률을 고려해 버스요금 등을 올리기로 했다. 서울시 등 일부 지자체는 오랫동안 동결해온 상·하수도 요금 인상도 고려하고 있다. 정화조 청소비나 쓰레기 봉투값, 문화시설 입장료, 공연예술관람료도 오를 가능성이 있다. 중앙 정부가 결정하는 전기·가스 요금도 연내 인상이 예고돼있다. 지경부는 전기요금을 물가 상승률 수준에서 올린다는 원칙을 확인했다. 원료비 연동제 적용 시점은 8월로 미뤘지만, 전력 수요가 많은 여름철 서민 가계엔 큰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가스요금도 7월까지는 동결하기로 했지만, 요금 조정이 이뤄지는 홀수달(9월과 11월)엔 인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박연미 기자 change@<ⓒ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박연미 기자 chang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