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의 홍수.. '소규모 펀드 총량비율제 필요'

[아시아경제 김현정 기자] 소규모 펀드의 난립으로 국내 펀드 시장의 질적 성장이 지연되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자산운용사별로 소규모 펀드의 수를 제한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김재칠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2일 "소규모 펀드의 양산과 난립은 우리나라 자산운용업의 국제경쟁력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투자자로부터 신뢰를 잃는 결과를 초래한다"면서 "운용사별로 소규모 펀드의 숫자가 일정비율을 넘어설 경우 신규 펀드 설정을 제한하는 '소규모 펀드 총량비율제'와 같은 간접적 규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미국 자산운용협회(CIC)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 펀드 수는 8687개로, 통계에 집계된 국가 가운데 글로벌 펀드 등록의 중심지인 룩셈부르크(9353개)에 이어 2위에 올라있다. 프랑스(7791개), 미국(7581개), 브라질(5618개) 등이 뒤를 잇는다. 그러나 이들 5개 국가의 펀드 당 평균 순자산 총액은 우리나라가 3100만달러(약 334억원)로 미국(15억500만달러), 룩셈부르크(2억6900만달러), 프랑스(2억800만달러), 브라질(1억7500만달러) 대비 크게 뒤떨어진다. 김 연구위원은 "정부 집계에 의하면 올해 5월11일 기준 3328개의 공모·추가형 펀드 중 56.9%인 1894개가 설정원본 50억원 미만의 소규모 펀드에 해당한다"면서 "이는 새로운 펀드의 설정이 신규자금 유입을 늘리는데 보다 효율적이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신규 설정된 펀드가 설정 초기 수익률 확보에 실패하면 판매 회사들의 추천목록에서 사라지면서 해당 펀드는 시장에서 도태된다"면서 "이를 정리하는 방법은 펀드 간 합병이나 청산이지만 수익자총회의 결의 등 절차와 비용 문제로 활성화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김 연구위원은 특히 판매회사들이 우월적 지위를 가지고 소규모 펀드 정리를 미루기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판매사 입장에서는 판매보수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펀드를 정리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투자자와의 분쟁 가능성도 염두에 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이 같은 소규모 펀드의 난립은 결국 투자자에게 돌아간다고 김 연구위원은 강조했다. 그는 "소규모 펀드는 분산투자와 효율적 운용이 어려워 수익률을 낮추게 된다"면서 "또한 규모의 경제효과를 기대할 수 없어 투자자가 평균적으로 지불해야 하는 보수 및 수수료의 상승으로 연결된다"고 설명했다. 김현정 기자 alphag@<ⓒ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김현정 기자 alphag@ⓒ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