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가 낙타를 도살하려는 이유는?

이산화탄소 배출 억제가 목표

탄소배출량 비교.

[아시아경제 조윤미 기자]호주 정부가 탄소배출을 억제하기 위해 100만 마리 이상의 낙타를 감축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8일 호주 정부가 새로운 '탄소배출권거래법'과 관련해 처음으로 계획한 것 중 하나가 '낙타 감축 정책'이라고 보도했다. 호주에는 19세기 내륙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들여온 낙타가 급속도로 번식해 100만 마리 이상이 호주 중앙의 사막지역에 서식하며 탄소를 배출하고 있다. 낙타는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보다 더 강력한 메탄가스를 방출하고 있다. 영국 런던의 임페리얼 대학 연구결과에 따르면 낙타 한마리는 연간 45kg, 소는 35kg의 메탄가스를 각각 방출한다. 이는 이산화탄소 1t과 0.8t에 각각 해당한다. 연간 2만km를 주행하는 승용차는 연간 4t,7000km를 비행하는 여객기는 승객 1인당 1t의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것과 비교하면 결코 작은 양이 아니다.  이에 따라 낙타를 도살해 탄소배출권을 확보하려는 탄소 프로젝트 개발회사인 노스웨스트카본사는 호주 정부에 낙타 도살 계획을 제안했다. 이 회사 전무인 팀 무어 박사는 "낙타를 도살하면 15t의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면서 "낙타의 탄소배출은 눈에 보이지 않으니 문제로 인식하지 않는 것과 같다"고 꼬집었다. 호주 정부가 여론 수렴을 위해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노스웨스트카본은 헬리콥터나 자동차에서 낙타를 사살하거나 도살해 애완동물 사료로 쓸 계획이다. 호주의 탄소배출권거래제는 의회 통과를 앞두고 있으며, 정부는 7월 1일 이 법안이 통과되기를 희망하고 있다.조윤미 기자 bongbong@<ⓒ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조윤미 기자 bongbong@ⓒ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