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쌀 가공' R&D에 700억 투자

[아시아경제 고형광 기자] 정부가 쌀 가공 분야의 연구개발(R&D)에 5년간 총 700억원을 투자한다. 또 떡, 막걸리 등 쌀을 주원료로 하는 쌀 가공업체에 세제지원을 추진하고 융자금을 대폭 확대한다.농림수산식품부는 쌀 가공산업 육성을 위해 5대 핵심 분야, 55개 과제에 대한 R&D에 5년간 총 7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고 28일 밝혔다. 쌀 가공산업을 활성화해 갈수록 줄고 있는 쌀 소비를 늘리겠다는 취지다.R&D 자금 700억원은 기능성 쌀 품종 개발, 쌀 가공제품 기술 개발, 가공 기기.설비 개발, 쌀 신소재 발굴, 쌀 가공제품의 유통기한 연장기술 개발 등 쌀산업 육성을 위한 5대 핵심 분야에 집중 투자된다. 5대 분야는 다시 55개 과제로 세분화 돼 그에 맞는 연구 개발이 이뤄진다.이를 통해 정부는 당뇨병 치료, 알콜중독 예방, 다이어트·성장촉진 효과 등 기능성 쌀을 개발하고 '고아미'(쌀국수용), '보람찬'(쌀빵용) 등과 같은 가공용 전용 쌀을 개발해 보급할 계획이다.또 굳지 않는 떡 기술 개발, 쌀을 50% 이상 주원료로 하는 맥주 개발 등 가공 제품들을 활성화 해 쌀 전체 생산량의 6%(30만t) 정도인 가공용 소비를 2015년에는 일본 수준인 15%까지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올해는 쌀가루 표준화, 쌀전분 응용기술에 12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쌀 가공업체에 대한 세제지원도 추진된다. 쌀떡, 쌀누룽지 등 100% 쌀 함유 가공품에 한해 부가세를 면세해 주기로 했다.쌀 가공업체에 대한 의제매입세액 공제율은 종전 102분의 2에서 108분의 8로 한시적으로 확대키로 했다. '의제매입세액공제'는 영세음식점의 세금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물품 구입가액의 일부를 매입세액으로 인정해 부가가치세를 걷지 않는 제도다.또 쌀 가공업체에 융자하는 시설자금, 개·보수자금 등의 지원금이 대폭 확대된다. 지원금은 올해와 내년엔 600억원씩, 2013년부터는 이 보다 5배 늘어난 연간 3000억원씩이 지원된다. 지금까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됐던 무균밥(햇반류), 김밥 등 밥류 업체도 지원대상에 포함된다.현재 농협 위주의 지원금 대출 취급기관이 일반은행으로 확대되고 시설자금의 경우 금리인하가 추진된다. 쌀가루 생산기반 확충을 위해 쌀가루 공장설비 시설자금에 대해서는 현행 3% 자금을 무이자로 지원하는 방안이 추진된다.유명 프랜차이즈와 경쟁할 수 있도록 쌀 제품 중심의 회식 프랜차이즈에 개소당 5000만원의 융자금을 지원한다. 쌀국수, 쌀빵 등 쌀 제품 전문 판매점에는 창업비도 지원한다.농식품부 관계자는 "대체 식품의 소비가 느는 등 식생활이 다양화, 편의화하면서 쌀 소비량이 지속적으로 줄고 있다"며 "쌀 가공업체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소비 촉진을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쌀 소비량은 1963년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뒤 1970년 136.4kg으로 정점을 찍었고 이후 등락을 보이다 1984년(130.1kg) 이후 줄곧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2006년(78.8kg)부터는 쌀 한 가마니(80kg) 이하 수준으로 떨어졌다. 지난해는 소비량이 더 줄어 72.8kg을 기록했다.고형광 기자 kohk0101@<ⓒ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고형광 기자 kohk0101@ⓒ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