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에서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누출된 것으로 추정되는 방사성 물질 '크세논(Xe방사성 제논)133'이 검출됐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어제 지난 23일부터 강원도 대기 중에서 미량의 크세논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어떤 경로를 통해 날아왔든 우리나라도 결코 일본 원전사고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국민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KINS는 검출된 크세논의 양이 우리나라 자연 방사선 수준의 2만3000분의 1인 미량으로 인체에는 영향이 없다고 밝혔다. 또한 기체로 존재하기 때문에 쉽게 공기 중으로 흩어져 지상에 있는 사람이 마실 확률은 0에 가까운 데다 비에 섞여 내려도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황사보다 무해하다고 한다. 과장된 공포에 과민반응 할 필요는 없다는 얘기다. 하지만 안전을 장담할 수는 없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누출된 방사성 물질의 양은 갈수록 늘어나는 데다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일본 원전 사고 5일 후인 17일 미국 서부 지역에서 크세논, 세슘 등 방사성 물질이 검출된 데 이어 러시아 동부, 아이슬란드, 오스트리아 등지에서도 검출되는 등 지구 전체가 방사성 공포에 떨고 있다. 특히 26일에는 바로 이웃인 중국 헤이룽장성에서도 방사성 물질이 검출됐다. 극히 미량이라고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도 방사성 물질이 검출됐다는 사실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일본 원전사태가 조기 수습되지 않고 장기화 할 경우 우리도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는 신호다.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정확한 정보를 있는 그대로 알리는 일이다. 원전 사고 초기 정보를 은폐해 자국민들의 불안을 키운 것은 물론 국제 사회의 신뢰를 잃은 일본 정부의 잘못된 태도를 반면교사로 삼을 필요가 있다. 그런 점에서 크세논이 처음 검출된 것은 23일이라는 데 왜 나흘이나 늦게 발표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아무리 적은 양이라도 방사성 물질이 검출되면 국민들에게 바로 바로 알리는게 당연하다. 아울러 일본에서 입국하는 내외국인의 방사능 피폭검사는 의무화하는 게 바람직하다. 희망자만을 대상으로 하다 보니 검사율이 전체 입국자의 20%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한다. 2차 피폭이 우려되는 만큼 검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