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연평도 포격 사건의 피해 주민들을 돕기 위해 모금된 국민 성금의 사용처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해 11월부터 지난 6일까지 모인 성금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35억원, 재해구호협회 35억원, 적십자 8억원 등 78억 여원이다. 피해를 입은 주민들은 당장 생활비가 급하니 현금으로 나눠달라는 입장이다. 지난 17일 주민투표까지 실시해 의견을 모았다고 한다. 주민들에게 전액 현금이 나눠지게 되면 1인당 500만원씩 돌아간다. 그러나 온 국민의 마음이 담긴 성금을 모래에 물 스며들 듯 흔적도 없이 써버려서는 안된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다. 주민들에게 현금다발을 안기는 것이 과연 성금을 모은 국민들의 뜻이냐는 것이다. 피해 주민들을 돕기도 해야하지만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다시는 이런 비극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일에도 써야 한다는 지적이다.
연평도 주민대책위원회도 당초엔 '연평발전재단'을 설립한 뒤 성금으로 복지ㆍ개발 사업 등을 추진할 계획이었다. 각 모금기관들도 재단 설립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주민들의 사정도 인천시와 옹진군이 지급한 생활안정자금으로 다소 풀렸고, 현금으로 나눠 갖더라도 주민 1명당 500여만원의 '푼돈' 밖에 안 되는 만큼 주민들을 위한 종잣돈으로 활용하자는 뜻이었다고 한다. 이처럼 국민 성금의 배분처를 둘러 싼 논란은 매번 반복되고 있다. 천안함 사건 때에도 논란 끝에 400여억원의 성금 중 희생자들에게 250억원이 지급됐고 나머지는 장병 추모와 장학사업을 위해 재단을 만드는데 사용됐었다. 이에 따라 재난ㆍ재해의 피해자들을 돕기 위해 모은 국민 성금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에 대해 사회적 합의를 통해 제도적 장치를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쓸데없는 논란을 방지하고 피해자들을 도우면서 국민들의 십시일반 정신도 더욱 활성화할 수 있는 합리적 방안을 논의해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 피해자인 주민들의 뜻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성금을 낸 국민들의 의견이 존중되는 방향으로 국민 성금의 사용처가 결정되어야 한다. 관계 당국의 신중한 검토를 기대한다. 김봉수 기자 bskim@<ⓒ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김봉수 기자 bskim@ⓒ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