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도 구제역 차단에 나서

공원 인근 3km이내에서 발병 시 해당지역 탐방로 통제 예정

[아시아경제 김승미 기자]국립공원관리공단은 구제역이 발생한 전국 10개 공원내 야생동물의 구제역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방역을 실시하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10개 공원의 진입도로 61개소와 탐방로 입구 42개소에서 지자체 등 방역당국과 함께 방역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공단은 전했다. 또 전국 국립공원사무소별로 구제역 대책반을 구성하고 직원 200여 명을 순찰활동에 투입해 죽은 야생동물 사체에서 구제역 징후가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있다. 공단은 국립공원 인근 3㎞ 이내에서 구제역이 발병할 경우 그 지역 탐방로를 통제할 계획이다. 공단은 멧돼지나 고라니와 같은 야생동물도 구제역에 걸릴 수 있지만 대부분 홀로 서식하거나 작은 무리를 이뤄 살기 때문에 바이러스에 감염될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공원인근 축산 농가에 접근이 가능한 멧돼지나 고라니의 경우 바이러스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고,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 야생동물 구제역 발병에 대한 사례와 연구가 없어 방역에 힘을 쏟고 있다고 공단은 설명했다. 외국의 경우 카자흐스탄에서는 감염된 소에서 '큰 코 영양'으로 구제역이 전파되고 다시 영양의 이동에 따라 다른 지역 축산농가로 확산된 사례가 있다. 이스라엘에서도 야생 가젤 50%가 구제역으로 폐사한 사례가 있다. 공단 신용석 자원보전처장은 "지자체와 지속적으로 협의해 구제역 확산을 차단하겠다"면서 "국립공원 3km 이내에서 구제역이 발병할 경우 그 지역 탐방로를 통제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김승미 기자 askme@<ⓒ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승미 기자 askm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