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합 드러난 우유업체들 뒤늦게 가격인하

연말께 공정위 결과 발표

[아시아경제 박연미 기자] 업계 1위인 서울우유를 시작으로 우유생산 상위 업체들이 잇따라 가격을 내리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담합 덜미가 잡힌 뒤 내린 결정이다. 지난 달 중순 서울우유와 남양유업은 추석에 즈음해 주요 제품 가격을 내렸다. 이 달 1일부터는 매일유업과 빙그레도 일부 제품의 값을 인하했다. 상위 4개 업체의 가격인하율은 서울우유 9.9%, 남양유업 10.1%, 매일유업 13.9%, 빙그레 9% 등이다. 공정위는 지난해 9월 중순부터 연말까지 우유 업계의 가격 담합 의혹이 있다고 보고 4차례에 걸친 현장 조사를 벌였다. 공정위는 이 과정에서 혐의를 잡아 의사결정기구인 위원회에 안건 상정 절차를 밟고 있다. 최종 결과는 통상 2~3개월 뒤에 나와 연말쯤 우유업계의 부당이득 반환 여부 등이 결정될 전망이다. 다만 자발적인 가격 인하에 따른 소비자 이윤은 부당 이득에서 차감될 가능성이 있다. 공정위는 상위 4개 업체의 가격 인하로 255억원에 이르는 소비자 이윤이 생기고, 기타 제품의 가격 인상 유인을 억제하는 간접 효과도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공정위는 14일 "공정위의 담합 조사 이후 우유업계가 스스로 가격 인하를 결정했다"며 "채소류 가격 상승으로 소비자 물가가 들썩이는 요즘 이런 조치는 서민 생활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반겼다. 공정위는 이어 "우유업체들의 가격 인하 사례가 다른 분야로도 확산되기를 기대한다"며 "주요 생필품 가격 동향을 계속 살피고 불공정행위를 집중 감시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이명박 대통령은 12일 국무회의를 주재하면서 "생활필수품의 가격을 조사해 국제 시세보다 높다면 값을 낮춰야 한다"고 말했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도 하루 뒤 위기관리 대책회의를 통해 "각 부처는 물가 상승 가능성에 미리미리 대응해 달라"고 당부했다. 박연미 기자 change@<ⓒ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박연미 기자 chang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