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重, 2년 만에 컨테이너선 수주

컨테이너선 10척·유조선 9척 등 총 17억달러 규모대만 에버그린, 16년 고객 일본 제치고 삼성重에 10척 발주하반기 수주 청신호, 연간수주 목표 80억 달러의 63% 달성

삼성중공업이 건조한 컨테이너선

[아시아경제 채명석 기자] 삼성중공업이 2년만에 컨테이너선을 수주하며 올해 수주 목표인 80억달러 달성에 청신호를 올렸다.삼성중공업은 대만 에버그린과 대형 컨테이너선 10척, 동남아시아 선사와 유조선 9척의 수주 계약을 맺는 등 총 17억달러(2조원) 규모의 대량 계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이번 계약으로 삼성중공업은 올해 총 51척, 50억달러 규모의 선박을 수주했으며, 연간 목표인 80억 달러의 63%를 확보했다고 설명했다.특히 이번에 대만 에버그린으로부터 수주한 8000TEU(1TEU는 20피트 길이 컨테이너)급 컨테이너선은 지난 2008년 7월 이후 24개월 만에 발주된 것으로서, 올해 초부터 늘어나고 있는 벌크선과 유조선에 이어 컨테이너선 시장 회복의 신호탄으로 해석할 수 있다.공산품을 운반하는 컨테이너선의 발주 재개는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실물경기가 살아나고 있다는 증거이며, 컨테이너선 시황을 가늠할 수 있는 운임지수 역시 연초 대비 80% 가량 상승한 상태다.프랑스의 시황분석기관인 알파라이너는 최근 “운항을 못하고 있는 유휴 컨테이너선은 작년 말 전체 컨테이너선의 12%인 580척에 달할 정도로 최악이었지만, 현재는 2.8%로 급속히 시황이 호전되고 있고, 특히 5000TEU급 이상 컨테이너선은 단 3척만 계류되어 있는 상태”라고 밝히기도 했다.즉 유럽 및 북미항로를 중심으로 물동량이 급증하고 있어 대형 컨테이너선 부족사태가 발생하고 있으며, 선박 가격이 더 오르기 전에 발주를 해야 할 적기라고 판단하는 선사들이 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8000TEU급 컨테이너선 가격은 클락슨 기준으로 올해 초 8600만달러에 형성돼 있었는데, 에버그린은 척당 1억달러 이상에 발주할 정도로 가파르게 선가가 오르고 있다.에버그린은 지난 1994년부터 16년간 47척의 선박을 전량 일본 업체에게 발주했으나, 대형선박 건조기술력에서 앞서 있는 한국으로 거래선을 변경해 국내 조선업계로서는 고무적인 일로 평가되고 있다. 삼성중공업은 비즈니스 파트너를 바꾸지 않는 것으로 유명한 에버그린의 발주경향을 볼 때 연이은 추가수주 또한 기대하고 있다.에버그린은 97척의 선박을 운용하고 있는 세계 5위의 컨테이너 전문선사지만, 8000TEU급 이상 대형선박은 한 척도 갖고 있지 않아 그간 시장 확대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따라서 에버그린은 삼성중공업에 발주한 10척의 컨테이너선을 포함해 오는 2015년까지 총 100척의 컨테이너선을 발주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장영발 에버그린 회장이 살아 있는 동안 에버그린을 세계 최대의 컨테이너선사로 키우겠다고 한 장기계획의 일환인 것이다.노인식 삼성중공업 사장은 “작년에는 컨테이너선 발주문의가 한 건도 없었지만 올해에는 에버그린 이외에도, 싱가포르, 홍콩, 남미, 그리스 등의 해운사로부터 입찰요청이 많이 들어와 있는 상태다”라고 말했다. 채명석 기자 oricms@<ⓒ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채명석 기자 oricms@ⓒ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