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가 끝나면서 기업 구조조정에 고삐가 조여질 움직임이다. 채권은행들이 꼽는 첫 번째 대상은 극심한 자금난을 겪고 있는 건설사들이다. 이달부터 시공능력 상위 300위권 업체들을 대상으로 정상에서 법정관리에 이르기까지 4단계로 신용등급을 매겨 그중 하위 2개 등급에 해당하는 워크아웃과 법정관리 대상 업체들을 구조조정 하겠다는 것이다. 2008년 말 금융위기 이후부터 미분양주택의 증가에 시달리고 있는 주택건설업체들이 이번 구조조정의 중심에 설 것으로 보인다. 업종의 속성상 경기 변동의 영향을 쉽게 받는 건설업종에 대한 금융권의 구조조정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이미 작년 1월과 3월 두 차례에 걸쳐 29개사에 대한 구조조정을 실시해 대부분 법정관리 상태에 있다. 그 이후에도 추가적으로 몇몇 건설업체들이 법정관리나 워크아웃을 신청했으나 정작 시장에서 퇴출된 업체는 두 곳에 불과할 정도로 구조조정의 효과는 미미한 수준에 그쳤다. 때문에 이번에 하겠다는 구조조정 또한 종전의 구조조정과 다를 바가 없다면 오히려 시작하지 않느니만 못하다. 확실하게 신용위험상태를 판단해 시장에서 생존능력이 없는 업체들에 대해서는 과감하게 퇴출시킬 수 있는 조치를 내놓아야 한다.악화된 시장상황이 좀처럼 회복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는게 주택건설업계의 현실이다. 예전처럼 시간만 지나면 위기가 해소된다는 안이한 판단은 금물이다. 작년 1차 구조조정 때 정상과 일시적 유동성 부족이라는 양호한 판정을 받았던 업체 중에서도 상당수가 워크아웃과 법정관리에 들어간 사실을 직시한다면 '시간이 약'이라는 생각은 업체에나 채권은행 모두에 독이 될 뿐이다. 또한 구조조정에 고려돼야 할 사항은 가능한 한 빨리 끝내야 한다는 점이다. 이미 시장에서는 우량 업체까지도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등 필요한 자금이 유입되지 않을 정도로 불확실성이 팽배하고 있다. 앞으로 어느 업체가 구조조정이 될지 모르기 때문에 모든 업체를 대상으로 자금이 돌지 않고 있다는 얘기다. 건설업체들에 이것만큼 답답하고 안타까운 일은 없다. 건설업체에 대한 구조조정의 필요성은 인정하되 보다 확고하게, 그리고 빠른 시일 내에 완료돼야 한다는 점을 다시 강조한다.<ⓒ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