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홈이뜬다⑤]'녹색 아파트' 어디까지 왔나?

스스로 냉난방 '에코하우스' 시험대 오른다

2025년까지 에너지제로 건축물 의무화 추진대우, 대림산업 등 태양광발전단지 시범공급건축비 늘어 세제감면 등 정부 인센티브 필요

대림산업이 개발한 친환경 저에너지 '에코 하우스' 개념도 <br /> 1. 태양광 발전 시스템 2. 풍력 발전 시스템 3. 지열시스템 4. 지중덕트스템 5. 옥상녹화 6. 빗물이용시설 7. 자연채광시스템 8. 슈퍼외단열9. 고성능 창호 10. 환기시스템 11. LED조명 12. 바닥충격음 저감재

[아시아경제 오진희 기자]지난 1992년 국제연합(UN) 기후변화 협약 채택후 기후변화 대응이 세계적으로 최우선 국가 아젠다로 급부상했다. 지속가능 건설시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환경친화적 건축물(그린빌딩)과 관련한 제도와 활성화 노력이 미국, 영국, 캐나다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미국의 경우 상업 및 공공시설, 고층 주거용 빌딩 등에 그린빌딩인증(LEED :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제도를 적용하고 있다. 독일은 기존 건물의 에너지 효율화를 위해 융자나 기금이 지원되고 있다. 건물보수 비용의 20~50%를 세액공제하거나 직접 보조한다.한국 정부 역시 이들보다 늦긴 했지만 녹색성장과 관련한 계획들이 쏟아내고 있다. 정부는 2012년까지 연간 에너지 소비량을 현 수준 대비 30% 절감, 냉난방에너지는 50% 저감. 2017년부터는 에너지 소비를 60% 이상 줄인 '패시브하우스' 수준의 성능확보. 2025년까지 에너지 제로 건축물 의무화'를 이같은 계획으로 단계적으로 밟아가겠다는 의지다.이런 트렌드에 동참해 건설업체들도 에너지효율, 신재생에너지와 관련한 기술개발과 적용을 시도하고 있다. 이미 태양열이나 태양광 적용, LED조명, 고효율 단열재 등은 건축물 일부로 들어가 사용되고 있다. 비용이 많이 들어가고 대규모 주거용 가구에 적용되는 '냉난방 에너지 소비량 제로' 등의 기술들은 준공 전인 경우가 많아 비용 대비 효율 계산이나 입주민들의 평가 등은 차후 이뤄질 전망이다.다만 아직은 '녹색'이라는 담론자체가 이에 따르는 구체적인 정책과 실천보다 더 크다. 특히 공공 아닌 민간시장에서도 '녹색 건축'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과 제도도 중요하지만 기업들의 공조도 필수적이다. 이런 상황에서 건설업계가 추진하고 있거나 추진 중인 사업들과 관련 기술들을 살펴보고, 정부와 함께 모색해야할 것들이 무엇인지 어떤 협력방안들을 가져야 할 것인지가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도입한 목포옥암 푸르지오

◇'녹색 아파트'로 무엇을 선보이나? 대우건설은 대표 아파트 브랜드인 푸르지오를 통해 친환경·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한 주거상품을 개발, 적용하고 있다.실제로 지난 2007년 입주한 목포옥암 푸르지오는 국내 민간업계 최초로 태양광발전 시스템을 적용해 하루 최대 600kWh의 전력을 생산한다. 이를 통해 단지내 복도, 주차장, 승강기 등의 공용전력으로 사용하고 있다. 더불어 지난해 11월 분양한 청라 푸르지오에 '그린프리미엄' 주거상품을 적용해 30%의 에너지 절감을 달성했다. 이 아파트는 태양열급탕 시스템, 지열냉난방 시스템, 초절수 3리터 양변기, 옥상 녹화 시스템 등 총 20여가지 상품들이 적용됐다.대림산업은 냉난방 에너지 자립형 주택기술을 개발했다. 자체 생산한 전기를 한국전력에 되팔아 에너지소비량을 마이너스 수준으로 만들겠다는 포부다. 이 회사는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업계 최초로 지난해 7월 분양한 신당 e편한세상과 11월 분양한 부천 역곡역 e편한세상(확장형)의 냉난방 에너지량이 평균 40%까지 절감할 수 있는 초 에너지 절약형으로 시공하고 있다.이 단지에는 단열재 성능을 대폭 강화하고, 고성능 창호를 사용했다. 공용부 배관에 쓰이는 보온재를 친환경 소재이면서도 단열성능이 우수한 발포고무 단열재를 적용했다. 세대 환기시스템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열을 재활용하는 폐열 회수형 환기시스템이 갖춰진다. 관리사무실 등 부대건물에는 태양광 발전시스템, 태양열 급탕 시스템, 지열 시스템, 풍력 발전 시스템 등 신재생 에너지를 적극 활용해 시공한다는 방침이다.◇아직은 시작일뿐.. 활성화하려면 정부의지 구체화돼야하지만 아직 국내 기술수준은 초기단계로 국내 업체들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속가능건설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전문가들은 또 이를 위한 정부의 지원책도 현실화 돼야 한다고 조언한다. '그린 빌딩'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 정책적으로 잘 안착되고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국내 실정에 맞는 요소 기술 개발 및 적용을 위한 기준이 마련돼야 하며, 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녹색건설을 달성하기 위해 여건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크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그린홈, 녹색주거가 일반화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구체적인 정책과 인센티브가 필요한데 갈길이 멀어보인다"면서 "특히나 요즘 건설경기가 불황인데다가 분양가도 올릴 수 없는 사정이어서 섣불리 에너지절감 주거건축에 비용을 투자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고 전했다.오진희 기자 valer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오진희 기자 valer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