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달중 기자]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2일 시ㆍ도지사 및 교육감 선거에 출마할 예비후보 등록을 접수하면서 정치권은 본격적인 선거 국면에 들어갔다. 예비후보 등록과 함께 제한적인 선거운동도 시작된다. 이번 지방선거는 이명박 정권 중간에 실시되는 전국 단위의 선거로 2012년 총선과 대선을 앞둔 길목이라는 점에서 각 정당이 부여하는 정치적 비중도 무겁다. 특히 지방선거 승패는 곧바로 이어질 각 정당의 전당대회에서의 당권 경쟁 구도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120일 남은 6.2 지방선거 관전 포인트를 짚어본다.
◆세종시 수정안 최대쟁점수도권과 충청권 지역을 중심으로 한 지방선거 최대 쟁점은 세종시 수정안이 될 전망이다. 한나라당은 오는 4월 국회에서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을 처리할 방침이지만, 성공 여부에 따라 지방선거에 미칠 영향도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비수도권의 혁신ㆍ기업도시 역차별 논란으로 촉발된 민심의 흐름도 선거 판도를 좌우할 수 있다.여기에 야권이 내세운 '정권 중간심판론'이 어느 정도 표심으로 나타날지 여부다. 2002년과 2006년 지방선거는 여권 견제론이 작용하면서 야당이 승리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장광근 한나라당 사무총장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지난해 6월 한때 야당의 정당지지율이 한나라당을 넘어선 것과 비교하면 지금은 국민의 지지가 확고한 안정세"라며 승리를 자신했다. 이명박 대통령의 지지율이 50%에 육박하고 있는데다 당 지지율 역시 40%대를 유지하고 있어 절망적인 구도는 아니라는 주장이다.각 정당의 내부 분열에 따른 한 파열음도 선거 정국을 뒤흔들 수 있는 파괴력을 갖고 있다. 세종시 문제로 계파간 갈등을 빚고 있는 한나라당은 4월 세종시특별법 처리 이후 봉합여부가 지방선거 승패의 열쇠를 쥐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계파간 화합 여부는 곧바로 박근혜 전 대표의 지방선거 지원 여부로 이어질 수 있다. 민주당도 마찬가지다. 경선 초입부터 주류와 비주류의 경쟁구도로 진행돼 결과에 따라 내부 분열도 가속화될 수 있다. 내부 분열은 지지층 결집 이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야권 연대도 주요 변수야권 연대도 태풍의 눈이다. 민주당,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국민참여당이 야권 연대의 주요 대상이다. 특히 서울시장과 경기도지사 선거에서 단일후보 여부가 최대 관심사다. 야권은 지난해부터 시민사회진영과 연대를 위한 논의를 진행해왔다. 연대의 필요성에는 모두 공감하고 있지만 실제로 단일후보를 낼 수 있을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지난해 10월 재ㆍ보선에서도 야권 단일화가 쟁점으로 떠올랐으나 최종 실패한바 있다.투표 10일 전인 5월23일은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서기 1주기로 지방선거 막판 표심에 미칠 영향에 여야 모두 촉각을 세우고 있다. 한나라당 한 당직자는 "올해는 지난해 추모 열기와는 다를 수밖에 없다"면서 "영남지역에는 일부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당락을 좌우할 변수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민주당과 참여당 측은 "지지층 결집의 주요 동력이 될 수 있다"며 기대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남북 정상회담 시기도 영향 줄듯 물밑접촉이 이뤄지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남북정상회담 성사 시기도 지방선거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관측된다.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 쪽은 민주당 등 야당이다. 민주당은 여권이 남북정상회담을 지방선거 이전에 실시해 정치적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면서도 이를 비판하기 어려운 딜레마에 빠졌다. 정세균 대표는 1일 "지방선거를 앞두고 남북 정상회담 추진이 정치적인 목적으로 악용되지 않겠냐고 걱정하지만, 걱정에 관계없이 민주당은 (정상회담) 추진에 찬성한다"고 에둘러 환영 입장을 밝힌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민주당 관계자는 "정상회담이 무당층을 여권이 흡수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정치컨설턴트 이경헌 포스커뮤니케이션 대표는 "이번 선거는 2006년 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에 많은 의석수를 줬다는 유권자들의 견제심리가 반영되기 위해서 먼저 야권 후보가 단일화가 되어야 한다"며 "세종시 문제를 비롯해 많은 변수들 가운데 야권후보의 단일화가 이뤄지지 않으면 여당 후보가 어부지리로 승리하는 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 전망했다.김달중 기자 dal@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달중 기자 da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