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 우면동 '산업뉴타운' 빠진 이유는

[아시아경제 고형광 기자] 서울시가 7일 지정한 '산업뉴타운'에 당초 계획에 포함된 서초구 우면동이 빠진 이유는 뭘까.서울시는 이날 영등포구 여의도동, 성동구 성수동 등 서울시내 5곳 209만㎡를 '산업뉴타운'으로 지정해 본격 개발한다고 발표했다.이번에 지정된 곳은 ▲영등포구 여의도동 22 일대 38만7469㎡ ▲성동구 성수동2가 3동 277-28 일대 53만9406㎡ ▲중구 삼각동 50-1 일대 28만1330㎡ ▲마포구 서교동 395 일대 74만6994㎡ ▲종로구 묘동 53 일대 14만855㎡ 등 5곳이며 총 면적은 209만6054㎡에 이른다.하지만 이번 '산업뉴타운' 지정은 지난 4월 서울시가 발표한 6개 지역(성동, 마포, 종로, 여의도, 중구, 서초)에서 서초구 우면동만 빠져 있다.'산업뉴타운' 예정지던 서초구 우면동 167-2 일대(5만3553㎡)는 서울시 땅이지만 지난 2005년 국민임대주택단지(50만4009㎡)로 지정되면서 '국토의 계획 및 이용한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이 지역 도시계획 결정권자가 서울시장에서 국토해양부 장관으로 변경됐다. 산업뉴타운으로 지정을 하려면 토지계획 변경이 필요한데 이에 대한 최종 승인권자가 시장이 아닌 국토부장관이 된 셈이다.이에 이 지역을 개발하고 있는 SH공사는 지난해 12월 서울시를 경유해 국토부에 '지구계획 변경(안)'을 요청해 놓은 상태며 국토부는 이 변경안에 대해 현재 검토중에 있다.서초구 우면동 일대의 '산업뉴타운 지정' 안을 승인할지를 놓고 국토부가 저울질하고 있는 것이다.이에 대해 국토부 관계자는 "서울시로 부터 변경 요구가 있어 현재 검토 중에 있다"면서 "보통 한 달 이상 시간이 소요되지만 관계 기관과 협의해 빠른 시일내에 결론을 낼 것"이라고 말했다.서초구 우면동 일대의 '산업뉴타운 지정'은 한 달 이후에나 결론 날 것으로 보인다.서울시가 추진중인 산업뉴타운 프로젝트는 주거정책인 뉴타운 개념을 신성장 동력산업 육성 전략에 새롭게 도입한 것으로 산업뉴타운 지구로 지정되면 용적률, 건폐율, 높이제한 완화 등 법상 인센티브가 부여된다. 이에 인근 지역 주민들의 관심이 높은 상황이다.특히 해당 지구내 앵커시설(거점지원시설) 건립, 도로 등 산업기반(SOC) 확충, 공동이용 장비·시설 지원, 기타 마케팅, 정보제공 등을 위해 서울시가 지구별로 1000억~1500억원의 파격적인 투자를 한다는 점이 주목 대상이다.시는 2017년까지 자치구별 최소 1개소 이상, 총 30개의 산업뉴타운을 조성해 서울의 산업지도를 재편할 계획이다.고형광 기자 kohk0101@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고형광 기자 kohk010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