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검 중수부, 다시 사정수사 전면에 서나?

[아시아경제 김진우 기자]지난해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를 계기로 사실상 개점휴업에 들어갔던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부장 김홍일 검사장)가 새해를 맞아 다시 사정수사의 전면에 설 것인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김준규 검찰총장은 최근 신년사에서 "나랏돈을 빼먹는 범죄와 국부(國富)를 나라 밖으로 빼돌리는 범죄를 상대로 온 힘을 쏟겠다"고 밝힌 바 있어, 중수부가 국방비리 등 수사에서 직접 '칼'을 빼들 것인지 주목된다.7일 대검에 따르면 중수부는 오는 8일 예비군 형태의 수사요원 45명을 대상으로 두 번째 집합연수를 실시한다. 지난해 12월4일 첫 번째 소집에 이어 두 번째다.앞서 중수부는 지난해 11월 공직비리와 기업범죄 등 분야에서 전문적 수사능력을 갖춘 검사 25명과 수사관 20명을 수사요원으로 선발했으며, 선발된 이들은 중수 1과ㆍ2과ㆍ첨단범죄수사과 등 중수부 내 각자의 소속 과(科) 및 팀을 배정받았다.일각에서는 중수부가 구(舊) 정권 사정수사에서 벗어나 명분이 있는 방위산업체 비리 등 국방비리와 국가 재정에 손해를 끼치거나 국부를 해외로 유출하는 범죄를 수사하는데 전면에 나설 것으로 보고 있다.실제 법무부는 지난 연말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방위산업 관련 비리 단속을 주요 과제로 포함시켰으며, "중수부와 국방부 검찰단의 업무협조 채널을 구축하고 중요 사안에 대해서는 합동수사팀을 구성하겠다"고 밝히는 등 이 같은 관측을 뒷받침해주고 있다.검찰 안팎에서는 중수부가 새해 들어 직접 수사를 벌이는 것에 대해 '시기상조'라는 지적이 있는 반면, '중수부가 직접 수사에 나설 수밖에 없지 않냐'는 현실론이 맞서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지금까지 '검찰총장 직할부대'로 불리며 정권의 사정수사 중심에 섰던 중수부가 '박연차 게이트' 수사 이후 반 년여 만에 부활할 것인지 세인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진우 기자 bongo79@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진우 기자 bongo79@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