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경제대책회의 출범 1년, 서민·현장 코드로 40회 개최

[아시아경제 김성곤 기자]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이명박 대통령 주도로 설립된 비상경제대책회의가 출범 1년을 맞았다. 청와대 지하벙커 회의로도 불린 비상경제대책회의는 매주 이 대통령 주재로 국내외 경제상황의 변화를 신속히 논의하고 과감한 비상대책을 적기에 마련해왔다. ▲ 총괄·거시팀 ▲ 실물·중소기업팀 ▲ 금융·구조조정팀 ▲ 일자리·사회안전망팀으로 구성된 청와대 비상경제상황실도 일일 및 주간단위 경제상황 보고서를 작성, 이 대통령에게 매일 아침 제출했다. 비상경제대책회의에 대한 이 대통령의 애정도 각별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해 해외순방 등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 매주 목요일 아침 7시 30분 청와대 또는 현장에서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주재했다. 총 40회로 국무회의 27회, 국가경쟁력강화회의 10회 등과 비교하면 엄청난 횟수다. 청와대는 이와 관련, "97년 IMF 금융위기 당시 김대중 대통령이 주재하는 경제대책조정회의는 14개월 동안 12회 개최됐다"면서 "비상경제대책회의는 지난해 이 대통령이 가장 많이 주재한 회의로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대통령의 열정과 의지를 엿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비상경제대책회의는 지난 1년간 ▲ 일자리 창출 6건 ▲ 서민생활안정 12건 ▲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 6건 ▲ 기업구조조정 8건 ▲ 산업경쟁력강화 14건 ▲ 경기활성화 8건 ▲ 경제상황 점검 19건 등 총 73건의 안건을 상정해 논의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회의 때마다 "경제위기로 가장 피해를 입는 계층은 서민이다. 일자리 창출이 최대 복지"라고 강조하면서 서민생활 안정에 역점을 뒀다. 아울러 비상경제대책회의는 출범 1년 동안 숱한 진기록을 남겼다. 우선 참석자 규모가 매머드급이다. 정부,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기업인, 민간전문가도 폭넓게 참여해여 위기극복정책을 논의했는데 지난 1년간 회의에 참석한 인원만도 750여명이었다. 특히 민간 및 정당 참석자의 비율이 20%를 넘었는데 이는 정책결정시 민간과 현장의 의견을 경청해 경제위기 극복에 동참하게 하려는 의도로 볼 수 있다. 회의 진행 역시 형식적 보고와 일방적 지시보다는 실질적인 토론이 보장됐다. 이 대통령은 매번 회의 때마다 참석자들의 토론을 독려했고 민간 참석자들의 자유로운 의견개진으로 예정된 시간을 넘기는 경우가 빈번했다. 소재산업 관련 분야를 다룬 35차 회의는 시간관계상 참석자들의 의견을 충분히 듣지 못했다는 이 대통령의 지적에 따라 37차 회의로 이어졌고 39차 회의에서는 1시간 30분으로 예정된 시간을 훌쩍 넘겨 3시간 이상 진행되기도 했다. 아울러 비상경제대책회의는 탁상행정이 아닌 현장을 찾아가는 회의를 지향했다. 총 40회 중 3분의 1이 청와대 지하벙커가 아닌 현장에서 개최됐다. 이는 민생과 현장을 강조한 이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된 것으로 이 대통령은 현장 회의 때마다 정책이 제대로 집행되는지 여부를 꼼꼼하게 챙겼다. 김성곤 기자 skzero@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성곤 기자 skzer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