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온성 액체로 각종 나노구조 이끈다'

카이스트, 탄소나노튜브·무기산화물 등 생산 가능한 나노구조 유도기술 개발

[아시아경제 최장준 기자] 이온성 액체로 탄소나노튜브, 무기산화물 등 여러 재료의 나노구조를 이끌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카이스트(KAIST)는 14일 생명화학공학과 홍원희 교수팀이 이온성 액체를 써 탄소나노튜브, 그래펜, 무기산화물, 유·무기 복합체 등에 이르기까지 여러 종류 재료의 나노구조를 유도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홍 교수팀은 이온성 액체의 구조 유도와 용매기능을 써 무기산화물 하이브리드 나노재료를 만들 수 있는 ‘청정한 반응기 이온열 합성법(Green One-Pot Ionothermal Synthesis)’을 사용했다. 홍 교수팀은 이 합성법을 산화철계열의 무기산화물 나노재료에 반영, 0차원에서 1차원에 이르는 구조를 조절했다. 결과 물질경계면에서의 에너지 전이현상으로 일반산화철보다 10배 이상 높은 흡착 및 광촉매효율을 얻었다. 카이스트는 이 기술을 이용, 태양광만으로도 폐수를 처리할 수 있고 태양광을 통한 물의 광분해로 수소에너지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또 광촉매가 지닌 뛰어난 항균 및 탈취기능은 건축재료분야에 많이 쓰여질 것으로 내다봤다. 홍 교수는 “청정 용매인 이온성 액체를 써 나노기술이 가진 사람과 환경에 대한 악영향을 줄이고 나노재료에 새 기능을 더해 기존기술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새 대안을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최장준 기자 thispro@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최장준 기자 thispr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