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피플&뉴앵글] 호주판 임꺽정

호주의 임꺽정으로 불리는 네드켈리

'한국에 임꺽정이 있고, 영국에 로빈 후드가 있다면, 호주엔 네드 켈리가 있다' 네드 켈리(1853~1880)는 산적이었지만, 호주인들에게는 영국의 식민지배에 맞서 싸운 영웅으로 각인되고 있다. 아직도 네드 켈리를 기르는 다양한 영화와 책, 음반이 나오는 걸 보면, 그에 대한 호주인들의 사랑을 가늠할 수 있다. 네드 켈리가 살았던 1800년대에는 이민자들이 광산개발이나 금광을 통해 순식간에 큰 '부(富)'를 쌓아올릴 수 있었던 시기였다. 호주의 1인당 국민소득은 세계 최고 수준에 달했다. 하지만 부의 불균형 또한 극심했던 때였다. 불균형 해소를 위해 식민 정부는 가난한 이민자들이 땅을 살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을 내놓기도 했지만, 이마저도 소수 권력자들이 앗아가면서 불균형은 더욱 심해져갔다. 경찰들이 내세웠던 '대민 정책'마저도 돈 많은 극소수 부자들을 위한 것에 불과했다. 서민들의 분노는 극에 달했다. 이 같은 분노를 대변해줬던 인물이 네드 켈리였다.

빅토리아 주립 도서관에 전시된 네드 켈리의 '수제 갑옷'

네드 켈리는 살인자였으며, 은행털이범이었다. 이유야 어쨌건 3명의 경찰관을 살해했고, 은행까지 털었으니까…. 하지만 이 과정에서 네드 켈리는 은행에 빚진 가난한 농부들의 담보 채권을 태워버리는 등 가난한 자들의 편에 서서 지배 세력인 영국의 공권력에 맞서 싸웠다. 서민들이 그를 '영웅'으로 떠받들게 된 것도 이 때문이다. 서민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았던 네드 켈리는 추종자들의 배신으로 생포 당하게 되고, 1880년 11월11일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다. '의적' 네드 켈리는 억눌려 살아왔던 서민들에게 '일종의 카타르시스'를 제공해준 인물이었다. 비록 그는 죽었지만, 그가 남기고 간 공권력 집행방법과 토지배분을 둘러싼 잡음들은 훗날 호주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호주 식민정부의 정책에 큰 틀이 바뀌게 된 것도 그를 빼놓고는 설명할 수 없는 일이다. 물론 네드 켈리가 없었더라도 사회는 분명히 긍정적인 방향으로 흘러갔을 것이다. 하지만 그로 인해 사회가 빠르게 진일보했음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네드 켈리의 유품은 멜버른 시내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가 생전에 썼던 투구며 갑옷을 식민정부가 있던 멜버른 시내 한복판에서 볼 수 있다니 그것 또한 아이러니하다. 다소 우스꽝스러워 보이는 그의 '수제 갑옷'은 빅토리아 주립 도서관에, '데스마스크'는 구 멜버른 교도소에 전시돼 있다. 두 장소간의 거리 또한 도보로 15분 정도 밖에 안 돼 외국인들의 '짧은 관광코스'로도 많이 애용된다. 글= 김준용정리= 윤종성 기자 jsyoon@asiae.co.kr◇ 부산 출신으로 펑크음악과 B급 영화를 즐기는 김준용 씨는 한국의 도시 소음과 매연을 견디지 못해 도피유학을 결심했다. 딴지 관광청 기자로 재직하면서 필리핀과 호주의 오지만 골라서 돌아다닌 준용 씨는 요샌 득달같이 덤벼드는 호주의 파리 떼와 치열한 전투를 치르고 있는 중이다.<ⓒ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온라인뉴스부 윤종성 기자 jsyo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