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앞으로 다가온 9일 7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는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이 높은 만큼 금리수준보다는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가 경기판단을 어떻게 내리고 향후 어떤 대처법을 시사할 지에 더욱 큰 무게가 실릴 전망이다. 더욱이 기준금리 결정 바로 다음날(10일) 발표 예정인 하반기 경제전망을 반영한 경기판단을 내릴 것으로 보여 금융시장의 관심은 더욱 뜨겁다. 8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일단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5개월 연속 연 2.00%에서 동결가능성이 크다. 이 총재가 지난달 경기하강국면이 거의 끝났다고 언급했고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동향 발표를 봐도 일단 경제 부진은 다소 벗어나는 모습이다. 그러나 정부의 재정정책 효과가 컸고 올 하반기 민간투자 및 소비로의 확산을 확신시켜줄 수 있는 지표들은 아직 찾아보기 어려운 게 현실이기 때문이다. 5월 광공업생산지수 증가율이 계절조정 기준으로 전년동월대비 1.6% 증가해 5개월 째 증가세를 지속했다. 5월 소비재판매액지수도 1.7% 증가하며 지난해 8월 이후 처음으로 플러스 증가율을 기록했고 소비자심리지수도 실물경기 침체 완화와 주가 및 환율 안정 등에 힘입어 전월에 이어 기준치(100)을 웃도는 105를 나타냈다. 하지만 서비스업생산지수는 0.2% 증가하며 전월의 1.8%에 비해 증가세가 둔화됐고 5월 취업자 감소폭은 전월에 비해 확대된 22만명에 육박했다. 종합해 보면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 상승과 일부 경제지표 개선은 있었지만 전반적인 경기는 여전히 침체상황인 셈이다.또 한은이 2·4분기 양호한 성장율을 관측하고 하반기 경제성장률을 상향조정한다고 해도 여전히 마이너스권을 벗어나지는 못할 것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삼성증권 전종우 거시경제파트장은 "세계 경제상황을 볼 때 한은이 특별한 조치를 취할 때는 아닌 것 같다"며 "올 하반기 경제전망을 종전보다 약간 상향조정하는 정도의 언급이 나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이코노미스트들은 "하반기 경제전망과 더불어 지난달 2.0%에 머문 물가에 대해 이 총재가 어떤 언급을 할 지도 관심"이라며 "이에 대한 우려섞인 멘트가 나온다면 금리인상 시기를 당초 연말 내지 내년 초쯤에서 다소 앞당길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봐야 한다"고 분석했다.박성호 기자 vicman1203@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박성호 기자 vicman1203@asiae.co.kr<ⓒ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박성호 기자 vicman1203@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