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빚이 500억원이 넘는 대기업 가운데 33개사가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또는 퇴출 대상으로 결정됐다. 최근 채권단이 9개 대기업그룹(주채무계열)과 재무구조개선 약정을 맺은데 이어 개별대기업 평가도 마무리됨에 따라 기업구조조정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중소기업에 대한 신용위험평가도 곧 시작된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11일 채권은행 18곳이 지난 4월부터 금융권 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인 기업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한 결과, 433개 세부평가 대상 중 구조조정 추진대상(C·D등급)으로 총 33개사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전체의 7.6%가 구조조정 대상이 된 셈이다. 금융당국과 채권단은 해당 기업의 신인도와 추가 경영 악화를 고려해 명단은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
다만 구조조정 대상 대기업들 중에는 주채권은행과 재무구조개선약정(MOU)을 체결한 9개 대기업그룹 소속 계열사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룹 차원에서 구조조정을 추진하는 점을 감안한 것이다.
구조조정 대상기업 가운데 22개사는 C등급으로 분류돼 채권금융기관 주도의 워크아웃에 돌입한다. 11개사는 D등급으로 분류됐다. D등급 업체는 채권단의 자금지원이 중단되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자금을 조달하거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해야한다.
구조조정 대상기업들은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 1 이하 ▲3년간 영업활동 관련 현금흐름이 마이너스 등이며, 향후 경영전망도 불투명한 곳들이다. 채권은행별로는 국민·우리·신한·하나·산업은행과 농협 등이 각각 2~6개 기업을 C와 D등급으로 분류했다.
구조조정 대상업체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 규모는 3조4000억원이며, 금융회사들의 손실에 대비해 쌓아야하는 대손충당금은 총 9800억원으로 추산됐다. 금융권역별 대손충당금은 은행 8300억원, 저축은행 500억원, 여신전문사 200억원 등이다.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시 은행권의 평균 BIS비율은 약 0.07% 하락할 것으로 추정됐다.
금융당국은 채권금융기관조정위원회를 중심으로 워크아웃 절차가 신속히 진행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한편 이번 신용위험평가 결과를 다음달에 일제히 점검해 평가 과정에 문제가 있는 은행들을 문책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채권단은 금융권 빚이 500억원 미만인 중소기업에 대한 신용위험평가도 6월 이후 실시키로 했다.
박수익 기자 sipark@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박수익 기자 sipark@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