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 후발주자 '그들만의 순위'

GS리테일ㆍAK플라자 약진…갤러리아ㆍ그랜드百 부진

백화점ㆍ마트업계 후발주자들의 격차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다. 롯데ㆍ신세계ㆍ현대ㆍ홈플러스 등 전국구 강자들의 틈바구니 속에서 그들만의 리그를 보여준 GS리테일과 갤러리아백화점, AK플라자, 그랜드백화점는 희비가 엇갈리는 상황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성장세가 계속 유지되면서 향후 전망도 매우 좋은 곳은 'GS리테일'이다. 이곳은 백화점인 GS스퀘어 3개 점포를 비롯해 GS마트(14개), GS수퍼마켓(112개), 편의점 GS25(3500개) 등 다양한 사업포트폴리오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사업 부문의 다양화는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며 매출 성장세를 이어가는 중이다. 2006년 3조1776억원의 매출은 2007년 3조4446억, 지난해 3조9147억원으로 늘어났다. 또 영업이익은 2007년 693억원에서 지난해 1071억원으로 증가했다. 2007년에는 도넛사업까지 진출해 현재 직영점을 21개까지 오픈하며 올해 하반기부터는 가맹사업도 실시할 계획이다. 백화점 사업도 조심스럽게 사업을 키우며 경쟁력을 높여 나가고 있다. 지난해 매출은 5625억원을 기록한 GS스퀘어는 올 1월 기존 송파점을 리뉴얼해 복합쇼핑몰로 새롭게 선보였으며 2012년경 경기도 안양(평촌)에 4호점을 출점할 계획도 갖고 있다. 특히 최근 GS그룹이 쌍용을 인수하면서 성장세에 날개를 달아줬다. 해외 각 지역의 풍부한 시장 조사분석 자료, 상품 발굴ㆍ공급ㆍ유통ㆍ판매 노하우 등 잘 짜여진 글로벌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는 쌍용을 통해 상당한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계속 나오고 있다. GS리테일 관계자는 "그룹의 유통 부문에 대한 전폭적인 관심과 지원으로 최근 2~3년동안 꾸준한 매출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다"며 "이번 그룹의 쌍용 인수를 통해 더 많은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올 3월 새로운 브랜드를 선포한 애경그룹의 유통 부문 'AK플라자'도 공격적인 경영으로 경쟁력을 키워나가고 있다. 1993년 구로점 단일 점포로 시작한 AK플라자(옛 애경백화점)는 2003년 수원점을 개점하고 2007년 분당점(옛 삼성플라자)을 인수했다. 지난달 말에는 지상 9층 지하 3층으로 구성된 경기 평택점(4호점)을 오픈하고 2013년까지 7개 점포를 운영하겠다는 목표에 한걸음 다가섰다.
반면 백화점 업계 4위인 갤러리아백화점과 가장 최하위인 그랜드백화점은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한 관계자는 "GS리테일과 AK플라자가 다양한 사업포트폴리오로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는 것과는 대조적"이라고 말했다. 기존 7개 점포를 운영하고 있는 갤러리아백화점은 지난해 약 1조4200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한 자릿수 성장을 해오고 있다. 하지만 신규 사업에는 주춤한 모습이다. 그동안 명품관 증축과 리뉴얼 작업이 있긴 했지만 2012년 초 오픈 예정으로 KTX 천안아산역 인근에 천안 신규점을 세우는 것 외에는 큰 변화를 찾기 어렵다. 그마저 올 3월에는 기존 갤러리아백화점 천안점 존패 논란이 불거지면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2006년 카페 '빈스앤베리즈'로 시작한 커피 사업도 현재까지 13여개의 점포만을 운영하며 활발하게 전개되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1980~90년대 서울 강남에서 위용을 떨치던 그랜드백화점의 상황은 심각하다. 10년여 동안 단 한 곳의 백화점도 출점시키지 못하며 옛 명성을 잃은지 이미 오래다. 현재 2개의 백화점과 마트 4개를 운영하며 명맥만 이어오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 매출은 4000억원대를 올린 것으로 추정된다. 김대섭 기자 joas11@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유통팀 김대섭 기자 joas1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