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박찬범 교수 자기조립기술 이용…어드밴스트 머티리얼스지 게재
KAIST는 박찬범(40) 교수 연구팀이 자연에서 나타나는 ‘자기조립’기술을 이용, 빨강(R), 녹색(G), 파랑(B) 등 다양한 형광색을 낼 수 있는 나노튜브소재를 세계 처음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자기조립’은 화학물질들이 ‘레고(LEGO)’ 블록처럼 스스로 조립, 3차원의 일정한 구조나 패턴을 만드는 현상으로 모든 생명현상의 뿌리가 돼 최근 세계적으로 널리 연구되고 있는 분야다.
KAIST 박 쇼수팀이 개발한 바이오기술 기반의 나노소재의 모습.
박 교수 팀은 두 개의 아미노산으로 된 단순 펩타이드를 수만 개 이상 자기조립시켜 머리카락의 천분의 일 두께의 나노튜브 구조를 만들었는데 이 과정에서 다양한 광감응현상을 크게 늘릴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각종 디스플레이기기 등에서 쓰는 RGB의 모든 색상을 나타낼 수 있는 바이오기술 기반의 나노소재를 개발했다.
특히 박 교수팀의 연구에서 쓴 펩타이드는 알츠하이머병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아밀로이드(amyloid)란 단백질 플라크(plaque)에서 유래돼 퇴행성신경질환 현상을 응용, 새 기능성 나노소재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과학기술계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연구결과는 재료분야의 저명한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지 27일자에 실렸다.
개발된 자기조립형 형광 나노소재는 ▲바이오센서나 칩 ▲각종 약물의 세포전달체 ▲의료용 하이드로젤 ▲차세대 디스플레이기기 등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노형일 기자 gogonhi@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노형일 기자 gogonh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