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경기도 긴축경영 시작…'사람 안뽑고·허리띠 졸라매고'

[수원=이영규 기자]심각한 재정난을 겪고 있는 경기도가 본격적인 '비상 경영'에 돌입했다. 도는 올해 하반기 공무원을 늘리지 않기로 했다. 또 산하기관에 대한 강도높은 구조조정도 추진한다. 이에 따라 경기신용보증재단 등 산하기관들은 내년 급여인상분 반납, 업무추진비 절감 등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26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안전행정부로부터 배정받은 올 하반기 총액인건비 대비 공무원 정원 52명을 확대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도가 공무원 정원을 늘리지 않기로 한 것은 지난 2008년 정부의 공무원 정원 감축 조치 이후 두 번째다.

도는 52명의 공무원을 늘리지 않을 경우 1인당 총액인건비 6600만원으로 환산했을 때 34억3200만원의 예산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도는 지난해 9월 안행부가 도에 배정한 117명의 공무원 정원 가운데 65명만 1차로 선발했다.


도 관계자는 "여러 부서에서 인력부족을 호소하고 있지만 공무원 수당에, 사업예산까지 깎는 마당에 공무원을 늘리는 것은 무리라고 판단해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말했다.

경기신보 등 산하기관들의 긴축경영도 본격화하고 있다.


경기신보는 임원급 전원의 내년도 급여 인상분을 반납키로 했다. 또 기관운영 업무추진비를 20% 줄이고, 간부직원들의 시간외수당도 22% 삭감키로 했다. 특히 전 직원들의 연가보상비도 42% 줄이기로 했다.


경기신보는 이외에도 재정지출의 철저한 관리를 통해 불요불급한 예산 집행을 억제하고 예산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자구노력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승인예산의 10%이상을 감축할 계획이다. 경기신보 관계자는 "쉽지 않은 결정이지만 노조와의 협의를 거쳐 임직원 모두가 예산절감에 적극 동참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경기도시공사와 경기평택항만공사, 경기관광공사 등도 업무추진비와 시간외수당, 연가보상비 삭감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앞서 도는 지난 21일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3875억원을 감액한 1차 추경 예산안을 발표했다. 특히 도는 15년만의 감액추경이 불가피함에 따라 도내 26개 공공기관에 대해서도 강도높은 예산절감을 요구키로 했다. 또 공공기관이 외부 민간자본을 유치할 경우 최대 1억원의 인센티브를 지급키로 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