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대 전체 물가에도 가공식품만 4.1% 상승
이재명 “다음 회의 전 보고하라” 주문에
추경 편성 등 단기 대책 마련 골몰
이재명 대통령이 “라면 한 개에 2000원 한다는데 진짜냐”며 가공식품 물가 급등에 문제를 제기한 직후 정부가 단기 물가 대책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는 조만간 식품업계를 만나 원재료 가격과 인건비 등 인상 요인을 점검하고, 2차 추가경정예산에 반영할 수 있는 할인 정책 등을 살펴보고 있다.
10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이러한 내용의 단기 물가 대책 마련에 돌입했다. 이 대통령이 지난 9일 열린 비상경제점검 태스크포스(TF) 회의에서 “물가 문제가 국민들에게 너무 큰 고통을 주고 있다”며 “현황과 가능한 대책을 다음 회의 전에라도 보고하라”고 지시하면서다. 대통령이 직접 ‘다음 회의 전 보고’를 요구한 만큼, 기재부·농림축산식품부 등 주요 부처는 긴급 대응책 마련을 위한 체제에 돌입한 상태다.
정부는 ‘다음 회의’ 전까지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만큼, 속도감 있는 단기 대책을 중심으로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특히 라면, 커피, 초콜릿 등 소비자 체감도가 높은 가공식품을 중심으로 최근 가격이 뛴 만큼 조만간 식품업계와 간담회를 갖고 가격 인상 사유를 점검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업계 내 가격 담합으로 인한 인위적인 인상 요인 등을 확인하기 위해 공정거래위원회가 조만간 조사에 착수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정부는 조만간 2차 추경 예산안 편성과 연계할 수 있는 할인 쿠폰과 같은 소비자 보조를 위한 대책도 강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당 차원의 ‘물가 관리 TF’를 출범시켜 정부와 보조를 맞추겠다고 밝혔다.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는 “국민 10명 중 6명이 가장 시급한 민생 과제로 물가 안정을 꼽고 있다”며 “당정 협의를 통해 이른 시일 내 체감 가능한 대책을 내놓겠다”고 강조했다.
비상계엄 틈타 가격 줄인상 나선 식품업계
정부가 물가 대책 마련에 나선 배경에는 가공식품 물가의 급등세가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5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 대비 1.9% 상승해 1%대로 내려앉았지만, 가공식품 물가는 4.1% 상승하면서 전체 물가 상승률을 0.35%포인트 끌어올렸다. 특히 초콜릿(22.1%), 양념 소스(17.1%), 오징어채(50.5%) 등 품목별 상승률이 두드러졌고, 축산물 가격도 전년 동월 대비 6.2% 올랐다.
식품업계의 가격 인상은 주로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사태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고조된 지난 6개월간 이뤄졌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계엄 사태 직전인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5월까지 가공식품 73개 품목 중 52개(71%)의 가격이 상승했으며, 이 가운데 5% 이상 오른 품목만 19개에 달했다. 초콜릿은 10.4%, 커피는 8.2% 상승했다.
지금 뜨는 뉴스
업계는 환율 급등, 원재료 수입비 증가, 전기요금·인건비 상승 등을 주요 요인으로 들고 있다. 또 계엄 사태 이후 가격을 인상한 건 윤석열 정부가 식품값 오름세를 지나치게 통제했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다만 정부는 최근에는 환율이 안정세를 보이는 데다,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인한 리스크도 잦아든 만큼 향후 가격 인상 요인은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 정부의 물가 관리가 한층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업계에서는 당분간 가격 인상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세종=이은주 기자 golde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