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제조업 12월 평균가동률은 전월대비 0.4%포인트 상승
2월 중소기업 경기전망지수(SBHI)가 전월 대비 0.6포인트 떨어졌다. 4개월 연속 하락세다.
중소기업중앙회는 ‘2025년 2월 중소기업 경기전망조사’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13일부터 17일까지 307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지수가 100보다 높으면 경기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는 업체가 그렇지 않은 업체보다 더 많다는 뜻이고 100보다 낮으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2월 업황전망 경기전망지수는 67.5로 전월 대비 0.6포인트 하락했다. 전년 동월(75.4) 대비로는 7.9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제조업의 2월 경기전망은 전월 대비 1.2포인트 상승한 75.2였지만 비제조업은 전월 대비 1.3포인트 하락한 64.2로 나타났다.
제조업에서는 금속가공제품을 중심으로 11개 업종이 전월 대비 상승한 반면, 음료, 섬유제품 등 12개 업종은 전월 대비 하락했다. 비제조업에서는 건설업이 전월 대비 0.9포인트 상승했고 서비스업은 전월 대비 1.8포인트 하락했다.
산업 항목별 전망을 보면 내수판매(67.4→68.0)는 전월 대비 상승한 반면, 수출(85.4→83.1), 자금사정(70.5→68.7), 영업이익(68.2→67.5)은 전월 대비 하락했다. 역계열 추세인 고용(95.4→96.2)은 전월 대비 악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2월의 SBHI와 최근 3년간 동월 항목별 SBHI 평균치와 비교해보면 제조업에서 원자재는 개선된 반면, 다른 항목은 이전 3년 평균치보다 악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비제조업에서 수출은 개선되지만 다른 항목은 이전 3년 평균치보다 악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1월 중소기업 경영상 애로요인은 매출(제품판매) 부진(51.4%) 비중이 가장 높았고, 인건비 상승(36.0%), 원자재(원재료) 가격 상승(30.5%), 업체 간 경쟁심화(24.3%)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12월 중소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2.6%로 전월 대비 0.4%포인트 상승했으며, 전년 동월 대비로는 0.2%포인트 상승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