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손정의 승부수…"오픈AI에 최대 36조원 투자 협상"

시계아이콘00분 58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MS 제치고 오픈AI 최대 투자자 부상 가능성
머스크, 소프트뱅크 자금력에 의문

일본 기업 소프트뱅크가 챗GPT 개발사 오픈AI에 최대 36조원을 투자하는 방안을 두고 협상 중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손정의 승부수…"오픈AI에 최대 36조원 투자 협상" 샘 올트먼 오픈AI CEO(왼쪽 첫번째)와 손정의 일본 소프트뱅크 회장. 로이터연합뉴스
AD

29일(현지시간) CNBC 등 주요 외신들은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소프트뱅크가 오픈AI에 150억에서 250억달러(약 21조에서 36조원)를 직접 투자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양사는 지난 21일 오라클과 함께 인공지능(AI) 합작사인 스타게이트를 설립하고, 향후 4년간 5000억달러(약 718조원) 이상을 투자해 미국에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소프트뱅크와 오픈AI는 스타게이트 사업에 각각 150억달러를 투자하기로 했지만, 이번 협상은 스타게이트 투자와는 별개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식통에 따르면, 소프트뱅크가 오픈AI에 새로 투자하는 자금은 오픈AI가 스타게이트 투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소프트뱅크가 오픈AI와의 협력에 최대 400억달러(약 58조원)를 지출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소프트뱅크가 150억달러 이상의 투자를 단행할 경우, 현재 최대 주주인 마이크로소프트(MS)를 제치고 오픈AI의 가장 큰 투자자가 될 수 있다. 오픈AI는 그동안 200억달러(약 29조원) 이상의 투자금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상에 대해 소프트뱅크의 손정의 회장이 AI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승부수를 던졌다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손 회장이 초지능(superintelligence) 사업을 위해 오픈AI의 지분 확보에 나선 것이라는 추측도 제기되고 있다.


오픈AI 입장에서도 소프트뱅크의 투자는 반가운 소식이다. 이는 마이크로소프트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센터 구축에 필요한 추가 자금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최근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성능 면에서 유사한 '가성비' AI 모델을 출시한 것과 관련해 기술적 격차를 벌리기 위한 추가 투자가 필요하다는 과제도 안고 있다.


AD

그러나 소프트뱅크의 오픈AI 투자 논의가 초기 단계에 있으며 실제 투자로 이어지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소프트뱅크와 오픈AI 측은 이에 대한 논평 요청에 대해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소프트뱅크가 확보한 자금 규모가 100억달러(약 14조 원)에 훨씬 못 미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김희윤 기자 film4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