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갤럽 만18세 이상 1001명 설문
한강, 한국인이 좋아하는 소설가 8위
성인 10명 중 2명이 한국인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의 소설을 읽어본 적이 있으며, 응답자의 절반은 앞으로 읽을 의향이 있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한국갤럽은 지난 15일부터 17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1명을 대상으로 한강 작가의 작품과 노벨문학상 수상에 관한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응답자의 21%는 한강 소설을 '읽은 적 있다'고 답했으며, 55%는 '앞으로 읽을 의향이 있다'고 했다. 하지만 24%는 지금까지 읽은 적 없고, 앞으로도 읽을 의향이 없다고 답했다.

한강의 소설을 읽어본 경험자는 20~50대 여성(20대 여성 31%, 30대 여성 27%, 40대 여성 34%, 50대 여성 29%)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또 주관적 생활수준이 높을수록(상·중상층 36%, 하층 9%) 더 많은 편이었다. 응답자들이 한강의 작품 가운데 가장 읽고 싶거나 추천하고 싶은 소설로는 '채식주의자'(22%)와 '소년이 온다'(21%)가 근소한 차이로 1·2위에 꼽혔다. '채식주의자'는 2016년 영국 맨부커 인터내셔널상을 받은 작품이며, '소년이 온다'는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소재로 다룬 소설이다. 이 밖에도 색깔이 흰 것에 관해 쓴 '흰'과 제주 4·3사건을 소재로 한 '작별하지 않는다'는 각각 1.3%, 1.1%였다.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을 작가 개인의 영예로 보는지, 아니면 국가의 영예라고 보는지 응답자에게 물은 결과, '작가 개인의 영예'(31%), '국가의 영예'(30%), '둘 다'(35%)라는 답변이 거의 비슷한 비율로 나왔다. 연령대별로는 20~30대가 이를 개인적 성취로 보는 경향이 있었으며 40대 이상에서는 국가적 의미를 결부시키는 경우가 많았다. 20대의 60%, 30대의 48%는 노벨문학상 수상이 작가 개인의 영예라고 답했지만, 40대 이상은 10명 중 7~8명이 이번 수상은 국가에도 의미 있는 일이라고 답했다.
지금 뜨는 뉴스
한편 한강 작가는 지난 5월 처음으로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소설가 부문에서 10위권 내에 이름을 올렸다. 1위는 2008년 작고한 '토지'의 작가 박경리(6%)였으며, 그다음으로는 이외수(4.9%), 조정래(3.8%), 공지영(3.7%), 김유정·박완서(각각 3.2%), 이문열(3.1%)이 이어졌다. 한강은 3.0%를 얻어 8위를 기록했고, 9위는 김진명(2.1%), 10위는 신경숙(1.6%)이었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