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이부자리는 별자리", "족보는 족발보쌈"…교사도 놀란 문해력 현주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28초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글자크기

한국교총 '학생 문해력' 실태조사 발표
교사 91% "과거보다 문해력 저하"

한글날을 앞두고 교원 10명 중 9명은 학생들의 문해력이 과거와 비교해 저하됐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교원은 "(초등학교) 6학년 아이들의 언어능력을 평가했는데 대부분 3학년 이하 수준으로 나왔다"고 전했다. 스마트폰과 게임 등 디지털매체 사용 시간은 늘고, 독서 시간은 줄면서 학생들의 문해력 저하가 심각하다는 지적이다.

"이부자리는 별자리", "족보는 족발보쌈"…교사도 놀란 문해력 현주소 한글날을 앞두고 교원 10명 중 9명은 학생들의 문해력이 과거와 비교해 저하됐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교원은 "(초등학교) 6학년 아이들의 언어능력을 평가했는데 대부분 3학년 이하 수준으로 나왔다"고 전했다. [사진=아시아경제DB]
AD

제578돌 한글날을 맞아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7일 전국 초·중·고 교원 5848명을 대상으로 학생의 문해력이 부족해 당황했거나 난감했던 실례를 서술하는 형식의 '학생 문해력 실태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6학년이 성명의 뜻을 모른다", "두발 자유화 토론하는데 두발이 두 다리인 줄 알았다더라", "이부자리를 별자리로 생각함", "족보를 족발 보쌈 세트로 알고 있다" 등 황당한 사례가 이어졌다.


구체적으로 해당 학년 수준 대비 문해력이 부족한 학생의 비율을 묻는 말에 응답자의 절반에 가까운 48.2%가 '21% 이상'이라고 답했다. '31% 이상'이라는 응답도 19.5%에 달했다. 글의 맥락과 의미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이 21% 이상이라고 답한 교원도 46.6%로 나타났다. 어려운 단어나 한자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의 비중을 묻는 말에는 응답자의 67.1%가 '21% 이상'이라고 답했다. 도움 없이 교과서를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이 21% 이상이라는 답변은 30.4%, 문제를 이해하지 못해 시험을 치르기조차 곤란한 학생이 21% 이상이라는 답변은 21.4%였다.


실제 학생들의 문해력이 부족해 난감했던 사례를 묻는 말에는 "금일(今日)을 금요일로 착각했다", "'왕복 3회'라고 했는데 '왕복'을 이해하지 못함", "체험학습 계획표에서 '중식 안내'를 보고 짜장면을 먹냐고 물었다"고 답했다. 한 교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언어능력 평가를 했는데, 대부분의 단어 수준이 3학년 이하로 나왔다"고 한숨을 쉬었다.

문해력 저하 원인 1순위는 디지털매체 과사용
"이부자리는 별자리", "족보는 족발보쌈"…교사도 놀란 문해력 현주소 지난 봄 서울 종로구 청계천에 올해 처음 마련된 야외도서관 '책읽는 맑은냇가'를 찾은 시민들이 독서 및 휴식을 즐기고 있다. [사진출처=연합뉴스]

교사들은 학생 문해력 저하의 원인으로 '스마트폰·게임 등 디지털매체 과사용'(36.5%)을 1순위로 꼽았다. 독서 부족(29.2%), 어휘력 부족(17.1%), 기본 개념 등 지식 습득 교육 부족(13.1%)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디지털 기기가 학생들의 문해력 저하뿐 아니라 필체에도 악영향을 미친다고 교사들은 지적했다. "디지털기기 보급으로 손글씨 쓰기가 줄고 있다. 학생들의 필체가 어떻게 변화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필체 가독성이 나빠졌다'는 응답이 94.3%에 달했다.


학생들의 문해력 개선을 위해 필요한 방안으로는 독서 활동 강화(32.4%)가 1순위로 꼽혔다. 이어 어휘 교육 강화(22.6%), 디지털매체 활용 습관 개선(20.2%), 토론·글쓰기 등 비판적 사고 및 표현력 교육 강화(11.4%)도 필요하다고 교사들은 응답했다. 교총은 "학생들이 다른 사람 도움 없이 교과서를 이해하지 못하고 시험 치기도 곤란한 현실은 정말 심각한 문제"라며 "문해력 저하는 학습 능력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대인 관계와 향후 성인이 된 이후 사회생활에도 부정적 영향과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나라의 전체 문맹률은 1~2%대로 매우 낮다고 하지만 이것이 문해력이 높다는 것으로 착각해서는 안 된다"며 "학생 문해력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진단·분석부터 시작하고, 디지털기기 과의존·과사용 문제를 해소하는 법·제도 마련 및 독서, 글쓰기 활동 등을 강화하는 대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