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우리·하나·국민 등 은행 임직원 횡령 1536억…환수는 7%에 불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0분 43초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글자크기

2018년 이후 우리은행 횡령사고 735억원 최대
금융당국 대책에도 반복되는 금융사고
"실효성 높은 내부통제와 감사시스템 도입 필요"

우리·하나·국민 등 은행 임직원 횡령 1536억…환수는 7%에 불과
AD

금융권 내부 통제 강화에도 은행권의 횡령사고가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유동수 의원이 금감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년 이후부터 올해 7월까지 15개 국내은행 임직원 횡령액은 1536억원을 기록했다 .


금융당국이 지속적으로 금융권의 내부통제 방안을 강화하도록 하는 처방을 내놨지만 좀처럼 근절되지 않고 있다. 금융당국은 2018년에는 금융기관 내부통제 혁신방안을, 2022년은 국내 은행 내부통제 혁신방안 발표했다.


은행별로 임직원 횡령사고를 살펴보면 2018년부터 올해 7월까지 우리은행에서 발생한 횡령액은 735억원(13건 )으로 최다를 기록했으며 , 경남은행이 596억원(4건), 하나은행이 65억원(24건), 기업은행이 32억원 (14건), 농협은행이 31억원(19건 )으로 뒤를 이었다 .


반면 횡령액 환수액 실적은 저조했다. 2018년부터 올해 6월까지 은행권의 횡령액 환수액은 6.9%인 106억원에 불과했다. 1450억원은 회수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횡령금액이 가장 많이 발생한 우리은행의 환수율은 은행권에서 가장 낮은 10억원(1.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


유동수 의원은 "금융당국의 내부통제안 도입에도 금융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며 "금융당국의 부실한 대책과 구멍 뚫린 금융권의 내부통제 관리는 물론 경영진에 대한 솜방망이 처벌이 금융사고를 키우고 있다 "고 지적했다 .



우리·하나·국민 등 은행 임직원 횡령 1536억…환수는 7%에 불과

이어 유 의원은 "은행의 가장 기본이 되는 신뢰를 망가트리는 임직원 횡령 사고는 금융업권에 대한 믿음을 무너트리는 일"이라며 "대형사고에 금융사 최고경영자까지 책임을 물을 수 있는 책무구조도를 조기 도입하고 임직원 윤리교육과 내부고발자 보호 제도 등을 도입해 금융사고 방지에 나서야 한다 "고 강조했다 .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